투로

Category
아이템: 
포스트 갯수5

기효신서 장도 투로 纪效新书 长刀 套路

0:26 검세총도 劒勢總圖 2:37 역사적 문서 삽화와의 비교 与历史中的文件图像比较 기효신서 장도 투로를 재현한 영상을 처음 올린지 1년이 넘었습니다. 그동안 자료를 제공해준 모아김씨와 국립민속박물관의 무예제보, 무예제보번역속집, 기효신서 번역과 군사편찬연구소의 기효신서 번역, 정종유의 단도법선, 오수의 수비록, 무예도보통지 등을 보고 비교하면서 조선과 중국의 사료를 취합하고 내용의 세부 비교에 들어간 결과 과거에는 부정확했던 많은 것들이 명확해졌습니다. 그래서 이 내용들을 적용한 신규 투로 영상을 발표한 것입니다. 이 모든 결과는 모아김씨를 비롯해 영상 촬영에 도움을 준 동료들과 형제들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오직 큰 감사를 드릴 뿐입니다. 영상이 길어져 투로 해설 영상은

단도법선 총서단도1로 번역

〈續總刀圖說〉   以前刀法,著著皆是臨敵實用,苟不以成路刀勢習演精熟,則持刀運用,進退跳躍環轉之法不盡。雖云:「著著實用」,猶恐臨敵掣肘,故總列成路刀法一圖,而前圖諸勢備載在中,又〈續刀勢〉十二圖於後,以便習演者觀覽。第習演之刀當用重長者,使臨敵用帶弩之刀,則驍快輕利矣!然全路勢多,倘力微者持重刀,難以跳舞終局。當聽用者力之長短,分為兩節、三節習演,毋拘定格可也。 속총도도설 총도의 그림을 이야기하는 것에서 이음 앞의 도법은 세법 하나하나 전부 적과 마주하여 실제로 쓸수 있다. 그러나, 투로路를 이루어서 세법을 익혀 연무하는 것이 정숙하지 못하면, 도를 쥐고 운용할 때 나아가고 물러남 (진퇴進退)과 돋우고 뛰어넘거나(도약跳躍), 빙글 돌고 둘러보는(환전環轉) 기법法을 다하지 못한다. 비록 “하나하나 전부 실제로 쓸수 있다”라고

The flourish of the Hanko Döbringer codex MS 3227a

이른바 "뉘른베르그 하우스북"이라 불리는 서적, 분류번호 MS3227a에는 리히테나워 검술의 가장 오래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되브링엔의 사제 한스(Hanko Döbringer)가 쓴 것으로 알려진 이 내용에는 리히테나워 검술에서 보기 드문 플러리쉬(품새, 투로)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한코 되브링어는 이 투로에 대해 Wiltu weydenlich / czu eyme gehen / in schulvechte~ / zo du schimpf / vnd höscheit gerest treiben / 만일 그대가 교실에서의 싸움이나 단지 즐거움을 위해 우아한 방식으로 상대를 욕보여 멋진 모습을 보이기를 원한다면 라고 적어놓아 검술 도장이나 보여주기용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암시하며

케이스 파렐의 MS3227a 플러리쉬 해석

MS3227a에 나오는 유일한 플러리쉬는 되브링어가 "다른 마스터 - 되브링엔의 사제 한코, 유대인 안드레스, 요스트 폰 데어 니센, 프로이센의 니콜라스"의 기술들을 언급하는 파트에서 등장하며, "만일 그대가 교실에서의 싸움이나 단지 즐거움을 위해 우아한 방식으로 상대를 욕보여 멋진 모습을 보이기를 원한다면" 이라는 말이 붙어 있어 비실전적이고 보여주기용임을 나타내는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른 마스터"의 기술을 설명할 때도 리히테나워를 잘 하면 이런건 다 할 수 있으니 길게 설명 않겠다고 부정적인 투로 말을 하는데다, 벡커마이스터, 노터중게, 크라우탁케, 포벤자겔 같은 기술은 후대에도 보여지지 않기 때문에 리히테나워류가 아닌 타류일 가능성도 있으나, 반면 쉬랑훗, 아이젠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