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랑콜리아

멜랑콜리아 - 종말의 병리학

By 그림자놀이 | 2012년 7월 29일 | 
멜랑콜리아 - 종말의 병리학
멜랑콜리아 (Melancholia, 2011) 감독: 라스 폰 트리에출연: 커스틴 던스트, 샬롯 갱스부르 1. 라스 폰 트리에 감독은 언제나 관객들 사이에서 극심한 논란을 일으키는 작품들을 만들어왔습니다. 감독의 세계관 자체가 어딘가 단단히 꼬인 듯하다고 해야 할까요. 이런 그의 예술적 취향은 종종 영화를 전혀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끌고 가기도 합니다. 뮤지컬을 만들겠다고 시작했던 영화는 <어둠 속의 댄서>가 되었고, 공포영화를 만들겠다던 그의 프로젝트는<안티크라이스트>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작년 칸에서 처음 공개되었던 <멜랑콜리아>는 정말 놀랍게도 지구종말을 다룬, 일종의 재난영화입니다. 2. 재난 영화라는 장르는 헐리웃 블록버스터에서 줄곧 소비되어왔기 때문에, 이 장

<멜랑콜리아> 리뷰

By rus in urbe | 2012년 7월 15일 | 
영화는 Part.1 저스틴, Part.2 클레어로 분리되어 있다. 아, 중요한 도입부가 그 둘에 앞서 제시된다. 여기선 기묘하면서도 매혹적인 이미지가 슬로우 모션으로 제시된다. 웅장한 영화음악이 무엇보다 인상적이다. 행성이 충돌하는 장면으로 마무리되는 다소 긴 도입부는 이후 진행될 이야기에 대한 호기심과 미학적 쾌감이라는 도입부가 갖는 전형적 목적을 대사 한 줄 없이 성공적으로 쟁취한다. (유투브의 댓글을 확인하다보면 도입부 이미지들의 레퍼런스도 몇몇 확인할 수 있다.) 1부의 저스틴(키어스틴 던스트)은 18홀 골프장이 딸린 대저택에서 결혼식을 올리는 저스틴의 이야기다. 좁은 코너를 통과하지 못하는 리무진 차량에서 등장하는 신혼부부는 그러한 곤경 속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는다. 걸어서 2시간이나 늦게 식장

파괴의 미학_<멜랑콜리아> 단평

By Go to Analog | 2012년 6월 15일 | 
파괴의 미학_<멜랑콜리아> 단평
제1장 18홀의 홀인원을 자랑하는 거대 저택에서 성대한 결혼식이 거행된다. 모두가 기쁘지만 우울한 신부는 파혼을 하고 만다. 제2장 이성적이고 사려 깊은 여자는 남편과 아들, 우울증에 시달리는 동생을 돌본다. 푸른 행성이 지구로 다가오면서 죽음의 전조가 시작된다. 라스 폰 트리에의 <멜랑콜리아>는 두 자매의 이야기이자, 감성과 이성, 삶과 죽음, 모든 대조된 것들이 충돌하는 파괴의 시다. 말들의 불안한 울음소리는 그치지 않고 하늘에서는 재가 눈처럼 내린다. 영화는 한마디로 아름답다. 지구가, 모든 생명이 멸망하는 순간의 비전 앞에서 숨을 쉴 수가 없다. 아름답고도 광포한 소멸 앞에 대책 없이 압도당한다. 지구멸망이라는 킬링 타임 블록버스터에 어울릴 만한 소재는 스스로를 우울증 환자라 칭하는 감독의

[멜랑콜리아] 초반부 영상미는 확실히 괜찮았다

By 하루새님의 이글루 | 2012년 6월 13일 | 
감독;라스 본 트리에 주연;커스틴 던스트,샬롯 갱스부르,키퍼 서덜랜드지난해 칸 영화제에 출품한 영화로써, 커스틴 던스트가 여우주연상을 받았으며이 영화를 만든 감독의 나치 발언 논란 역시 있었던 영화<멜랑콜리아>이 영화를 5월 17일 개봉 이후에 예매해서 보았다.. 그리고 부족할런지 모르지만이 영화를 본 나의 느낌을 얘기해보고자 한다.<멜랑콜리아;헐리웃 영화와는 다른 느낌에.. 초반부 영상미는 괜찮았다>내가 이 영화를 알게 된 건 지난해 칸 영화제 때였다... 그것도 그런 것이커스틴 던스트의 여우주연상 수상 소식과 이 영화를 만든 라스 본 트리에감독의 나치발언으로 이래저래 논란이 있었던 가운데 그로부터 1년이 지나서야우리나라에서 개봉한 영화<멜랑콜리아>이 영화를 보고서 느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