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봉사

Category
아이템: 
포스트 갯수4

열네번째 이야기, 이스라엘에서 만난 사람들

By All About Us | 2018년 3월 9일 | 
열네번째 이야기, 이스라엘에서 만난 사람들
"왔노라, 보았노라, 이겼노라" 카이사르가 확신에 차서 한 말처럼 여행의 묘미는 '그곳'에 가서 간접적으로만 접하던 곳을 내 두 눈으로 똑똑히 보는 것에 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여행을 마친 지금 돌이켜 보면, 그건 반쪽짜리 묘미에 불과했다. 여행이라는 행위에 더 큰 의미를 부여해주는 건 결국 그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이었다. 나와 다른 삶의 궤적을 따라 살아온 사람들의 삶을 통해 새로운 삶의 지평을 보게 되기도 하고 사람들과 부대끼는 과정 가운데 나라는 사람에 대해서 더 잘 알게 되기도 했다. 그런 점에서 길 위에서 만난 사람들은 새로운 곳으로 난 창문 같기도, 때로는 나 자신을 비추는 거울 같기도 했다. 이스라엘 키부츠에서 내가 만난 사람들은 크게 두 부류로 나눌

일곱번째 이야기, Hazorea 키부츠를 소개합니다

By All About Us | 2017년 8월 18일 | 
키부츠의 일은 굉장히 다양하다. 앞서 말했듯이 키부츠는 하나의 도시라고 불러도 무방할 정도로 그 안에 집, 보건소, 학교, 유치원, 세탁소, 도서관, 식당, 슈퍼마켓, 양로원 등 모든 것이 다 있다. 봉사자들의 업무도 키부츠 내에 위치한 장소들 만큼이나 다양한데, 이는 거주자들과 봉사자들이 그 키부츠 내에 위치한 여러 시설들이 제대로 기능하도록 노동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내가 배정받은 Hazorea 키부츠는 거주자가 800여명 정도인, 꽤 큰 규모의 키부츠였기에 일하는 봉사자들의 업무도 다채로웠다. 내가 갔을 당시에는 대여섯명의 봉사자들이 있었는데 그들은 울판 프로그램(외국에 사는 유대인들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3일은 히브리어를 공부하고 나머지 3일은 키부츠의 일을 한다)

나는 파견자다

By 습관성 기록 | 2014년 4월 13일 | 
이 동네(?)에서 파견을 나간다고 하면 보통 ‘해외봉사’를 떠올린다. 파견을 내보내는 기관 대부분 해외봉사단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기도 하고, 흔히 말하는 개도국 혹은 후진국에 자의로 나간다는 게 아직 한국에선 봉사로 인식된다는 점도 한몫 한다. 거기다 나이든 분일수록 개발협력 분야는 낯선 세계라 우리 부모님도 주변에서 나 어디 갔냐고 물으면 그냥 해외봉사 갔다고 말씀하셨다. (참고로 엄마는 여전히 친척들이나 친구들을 만나면 내가 무슨 일을 하는지 설명하는 게 너무 어렵다고 하신다. 팔순의 외할머니는 오죽하랴. 과년한 손녀딸의 결혼이 지상목표 3위쯤 되는 외할머니는 내 선자리 알아보는데 직업을 뭐라고 하면 되냐고 건수가 있을 때마다 되물으신다...) 이 ‘봉사’라는 명칭에 대한 이의는 따로 언급할 기회가

포천경마의 네팔 여행기 - 1

By 포천경마 | 2013년 11월 5일 | 
포천경마의 네팔 여행기  - 1
왜 네팔이냐고 묻는다면 딱히 할말은 없다 군대전역후에 막연히 떠났던 몽골 여행처럼 스물 아홉의 끝자락에 서있는 나는 어디로든 떠나고싶었고 그냥 그게 네팔이었을뿐이었다 스물아홉 백수라는 거창한 타이틀은 인생의 막연함이라는 단어로 정리될수있는 삶이기도했고 내가 떠나는 여행은 인생의 막연함이라는 안개속에서 더욱더 깊은 막연함이라는 의미를 갖기도했다 술먹고 들으면서 눈물을 줄줄 흘리던 김광석 형아의 라이브 영상에서는 "이십대의 끝자락에 무언가를 붙잡고 삼십대에 그 붙잡은 그것을 무조건 당기고 본다"면서 인생의 막연함을.... 다들 그렇게 사는거라면서 인생선배로서의 훈계 같은걸 해주나 싶기도했지만 정작 광석이형은 스스로의 인생을 스스로 선택해버리는 아이러니를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