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사

Category
아이템: 동명사(9)
포스트 갯수9

#I123 전치사와 동명사

By 소인배(小人輩).com | 2020년 1월 24일 | 
#I123 전치사와 동명사영어에는 우리말에는 없는 문장 요소인 “전치사”라는 것이 있습니다. 전치사는 영어로는 “PREPOSITION”이라고 쓰이는데요. 문자 그대로 놓고 보면, “앞에 위치하는 것” 정도로 옮겨볼 수 있습니다.여기에서 무언가의 앞에 위치한다는 것은 바로 “명사” 앞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는데요. 필요한 경우에 명사 앞에서 특별한 의미를 첨가하기 위해서 쓰이는 문장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핵심은 “명사” 앞에서만 쓰이는 것이라는 것이지요. 그래서 동사와 같은 문장 요소 앞에서는 쓸 수가 없습니다.“전치사에 관하여…”전치사에 관해서는 사실, “BASIC GRAMMAR IN USE”에서도 간략하게 살펴본 적이 있기도 합니다. 바로 “전치사 IN / AT / ON”을 시작으로, 하나씩 살펴본 적이 있기도 하지요.#B98 전치사 IN/AT/ON "시간의 경우" : https://theuranus.tistory.com/4011그래서 혹시나 전치사에 대해서 가물가물 하시면 위의 링크를 따라가서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순서대로 전치사에 관한 내용을 보시면 도움이 되겠지요.그런데, 사실 교재의 이번 챕터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내용은 바로 “전치사” 다음에 “동명사”를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동명사는 “동사”에 “-ING” 형태를 붙여서 만드는 형태인데, 동사와 비슷하게 쓰이고, 거의 비슷한 의미를 갖지만, 문장에서 “명사처럼” 쓰이게 만드는 방법입니다.예를 들어서, “TALK”라는 동사에 “-ING”를 붙여서 “TALKING”으로 만들면, “말하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말하기”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지요.이러한 내용도 이전에 “BASIC GRAMMAR IN USE”에서 살펴본 적이 있습니다.#B109 전치사와 동명사(-ING) : https://theuranus.tistory.com/4022위의 링크를 타고 가면 같은 내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BASIC GRAMMAR IN USE”에서는 간략하게 살펴보고 넘어갔으니, 이번에는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 넘어가 보도록 하지요.“동사 + 전치사 + 동명사(-ING)가 쓰이는 경우”우선 기본적으로 이렇게, 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바로 나오지 않고 전치사를 사용하고, 목적어를 쓰는 동사들을 놓고 “자동사”라고 칭합니다. 자동사와 반대로 “목적어”를 바로 취하는 동사를 두고 “타동사”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영어에서 쓰이는 대부분의 동사는 타동사입니다.그래서, 타동사를 따로 분류해서 암기하기보다는 자동사를 따로 떼어서 암기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사는 주로 특정한 전치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요. 아래와 같은 표현들을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아래에서는 자동사뿐만 아니라, “BE + 형용사 + 전치사”의 형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어차피 같은 내용이라 함께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교재에서 소개된 내용을 한 번 정리해보도록 하지요.BE INTERESTED IN : … 에 흥미 있다.BE GOOD AT : …를 잘하다.BE FED UP WITH : …에 싫증 나다.BE TH”E ADVANTAGES OF : …의 장점THANKS FOR … : …에 감사하다.IN STEAD OF : … 대신에IN SPITE OF : … 에도 불구하고이러한 표현들을 살펴볼 수 있는데요. 교재에서는 아래와 같은 표현들로 소개가 되었습니다.“Are you interested in working for us?” (우리와 함께 일하는 것에 흥미 있습니까?)“I am not good at learning languages.” (나는 언어를 배우는 것에 소질이 없다.)“Sue must be fed up with studying.” (수는 공부에 싫증 났음에 틀림없다.)“What are the advantages of having a car?” (차를 소유하는 것의 장점이 무엇입니까?)“Thanks very much for inviting me to your party.” (저를 당신의 파티에 초대해주셔서 감사합니다.)“How about meeting for lunch tomorrow?” (내일 점심때 만나는 것은 어때요?)“Why don’t you go out instead of sitting at home all the time?” (하루 종일 집에만 있지 말고 좀 나가는 건 어때요?)“Amy went to work in spite of feeling ill.” (애미는 아픈데도 일하러 갔다.)이러한 문장들이 교재에서 소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문장도 소개가 되어 있습니다.“I am fed up with people telling me what to do.” (나는 나에게 이래라 저래라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싫증 났다.)위에서 “PEOPLE” 뒤에 “telling me what to do.”라고 쓰여 있는데, 여기에서는 “people who is telling me…”에서 “WHO IS” 부분이 생략된 관계대명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위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요.여기까지, 전치사와 동명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I115 TO 부정사 & 동명사 “LIKE / LOVE / HATE”

By 소인배(小人輩).com | 2020년 1월 16일 | 
#I115 TO 부정사 & 동명사 “LIKE / LOVE / HATE”이번에도 계속해서 “TO 부정사”와 “동명사”에 대해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 이번에도 지엽적인 내용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도록 할 텐데요.“LIKE / LOVE / HATE”와 같은 동사들의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본격적으로 글에 들어가기에 앞서서 결론부터 살펴보면, 위의 3 동사는 모두 “동명사”와 “TO 부정사”를 동시에 취할 수 있습니다.“LIKE / LOVE / HATE의 경우”이렇게 동시에 두 가지를 취할 수 있는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동명사”와 “TO 부정사”가 가지는 의미를 따라간다고 보시면 됩니다.#I100 TO 부정사와 동명사 “들어가기” : https://theuranus.tistory.com/6206동명사가 쓰이는 경우에는 이미 이전에 벌어진 어떤 것을 “동사”한다라고 보면 되지요. 그리고, 반대로 “TO 부정사가 쓰이는 경우에는 “TO 부정사 하려고 동사한다.”라는 의미로 해석을 하면 되는데, 둘 사이에 의미상의 차이가 크게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LIKE / LOVE / HATE”의 경우가 그러한데, 아주 미세하게 차이가 있는 정도이지요.우선 일반적으로는 차이가 없는데, 차이가 없이 쓰이는 경우부터 살펴보도록 하고, 그러고 나서 아주 미세하게 차이를 보이는 경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Do you like getting up early?” = “Do you like to get up early?” (일찍 일어나는 게 좋나요?)“Stephanie hates flying.” = “Stephanie hates to fly.” (스테파니는 나는 것을 싫어한다.)“I love meeting people.” = “I love to meet people.” (나는 사람들 만나는 것을 좋아한다.)“I don’t like being kept waiting.” = “I don’t like to be kept waiting.” (나는 기다리는 것을 싫어한다.)“I don’t like friends calling me at work.” = “I don’t like friends to call me at work.” (나는 내가 회사에 있을 때 친구들이 내게 전화하는 것을 싫어한다.)이렇게, 위와 같은 경우에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습니다. “-ING” 형태를 사용하든, “TO 부정사” 형태를 사용하든 크게 차이가 없지요.“이미 이전에 일어났던 어떤 것을 이야기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동명사”하지만, 간혹 동명사는 이전에 일어났던 어떤 일을 이야기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기도 합니다. 이는 동명사와 TO 부정사가 쓰이는 경우에서, 동명사가 가지는 속성이라고 할 수 있었지요.아래와 같은 문장이 있다고 하지요.“Paul lives in Berlin now. He likes living there.” (폴은 베를린에 산다. 그는 거기에서 사는 것을 좋아한다.)이 경우에는, 폴이 이미 이전에 베를린에 산 경우이기에 “LIKES LIVING THERE.”이라는 형태로 쓰였습니다. 이미 살지 않았다면, 이러한 형태로 사용할 수 없겠지요.아래와 같은 표현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미, 이전에 어떤 것이 있었고, 그것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경우에 동명사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지요.“Do you like being a student?” (학생인 것이 좋은가요?)“The office I worked in was horrible. I hated working there.” (내가 일했던 그 사무실은 최악이었다. 거기서 일하는 것이 정말 싫었다.)“LIIKE TO DO / LIKE -ING의 경우”어떤 것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고 할 때는 “LIKE TO DO / LIKE DOING”와 같이 두 가지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그런데, “I LIKE DOING…”의 경우에는 그것을 하면서 좋아하는 경우를 가리키는 반면, “LIKE TO DO”로 쓰인 경우에는, 그것을 해야 하는 것을 알긴 알지만, 그다지 즐기지는 않는 경우를 가리킨다고 하지요.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LIKE -ING : … 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래서 하면서 그것을 즐긴다.)LIKE TO DO : … 하는 것이 좋은 것이라는 것은 알지만, 별로 좋아하지는 않는다.이렇게, 비교를 해볼 수 있습니다. 아래의 예문을 살펴보도록 하지요.“I like cleaning the kitchen.” (나는 주방 청소하는 것을 좋아한다.) ☞ 실제로 하면서, 즐기는 경우“It is not my favourite job, but I like to clean the kitchen as often as possible.” (이건 내가 정말 좋아하는 일은 아니지만, 주방 청소를 가능한 즐긴다.) ☞ 크게 좋아하지는 않지만, 하기는 하는 경우그리고, 교재에는 이와 같이 “ENJOY / DON’T MIND”라는 표현이 소개되고 있는데요.위 두 표현의 경우에는 무조건 “동명사”를 취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냥 “ENJOY -ING / DON’T MIND -ING”라는 형태로 함께 붙여서 외워두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I enjoy cleaning the kitchen.” (나는 주방 청소하는 것을 즐긴다.)“I don’t mind cleaning the kitchen.” (나는 주방 청소하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이렇게 말이죠. 여기까지, “LIKE / LOVE / HATE”가 “TO 부정사”와 “동명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I111 TO 부정사 & 동명사 “둘 다 쓰이는 경우”

By 소인배(小人輩).com | 2020년 1월 12일 | 
#I111 TO 부정사 & 동명사 “둘 다 쓰이는 경우”한 문장 속에서 두 개의 동사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인 “TO 부정사”와 “동명사”에 대한 내용을 계속해서 살펴보고 있습니다.혹시나 동명사와 TO 부정사의 기본적인 개념에 대해서 잘 모르신다면, 아래의 링크를 타고 들어가서 글을 보고 오시기 바랍니다.#I100 TO 부정사와 동명사 “들어가기” : https://theuranus.tistory.com/6206“TO 부정사 & 동명사, 둘 다 쓰이는 경우”앞에서 우리는 TO 부정사를 취하는 동사와 동명사를 취하는 동사를 나누어서 살펴보았습니다. 일반적인 경우는 이렇게, 보통 하나의 동사는 둘 중 하나의 형태만 취하는데, 어떤 동사들은 두 가지 형태로 모두 쓰이기도 합니다.이렇게, 두 가지 형태를 모두 취하는 이유는 그 이유 때문인데요. 같은 동사라도 뒤의 동사를 “동명사”로 취하는 경우에는 시간상으로 동명사에 해당하는 내용이 이전에 일어난 일을 말하고, “TO 부정사”를 취하는 경우에는 동사 이후에 일어나는 일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TO 부정사”와 “동명사”의 기본적인 속성에 맞춰서 해석을 하면 되는 것이지요.이렇게 교재에서 소개되고 있는 단어부터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REMEMBER : 기억하다.REGRET :  후회하다.GO ON : 계속하다.“REMEMBER의 경우”REMEMBER의 경우, -ING와 TO 부정사의 형태를 쓸 수 있습니다. 내용을 정리해보면 아래와 같이 정리해볼 수 있겠네요.REMEMBER -ING : …했던 것을 기억하다.REMEMBER TO 동사원형 : … 할 것을 기억하다. (과거의 경우, 기억해서 했다.)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쓰인 문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동명사”가 쓰인 경우부터 살펴보도록 하지요.“I know I locked the door. I clearly remember locking it.” (나 문 닫았어. 문 닫은 거 완전히 기억해.)“He could remember driving along the road just before the accident, but he couldn’t remember the accident itself.” (그는 사고 직전에 운전하던 것은 기억했지만, 사고 자체를 기억하지는 못했다.)이번에는 TO 부정사가 쓰인 문장입니다.“I remembered to lock the door, but I forgot to shut the windows.” (문을 닫아야 했던 것을 기억해서 했지만, 창문을 닫는 것을 깜빡했다.)“I must remember to pay the electricity bill.” (나는 전기세 내는 것을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REGRET의 경우”이번에는 “REGRET”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에도 마찬가지로, 아래와 같이 의미를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REGRET -ING : ... 했던 것을 후회하다.REGRET TO 동사원형 : …할 것을 후회하다. (주로 … 해서 미안하다.)그럼 한 번 문장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I now regret saying what I said. I shouldn’t have said it.” (나는 내가 했던 말을 후회한다. 그러지 말았어야 했다.)“Do you regret not going to college?” (당신은 대학에 가지 않은 것을 후회합니까?)이번에는 “REGRET TO…”의 형태입니다. 직역을 하면, “… 할 것을 후회하다.”인데, 주로 좋지 않은 소식을 남에게 전할 때 사용합니다. 그래서 의미는 “… 해서 미안하다.”, “송구스럽다.”와 같은 내용이지요.“We regret to inform you that your application has been unsuccessful.” (지원서가 성공적이지 않았던 것을 전달하게 되어서 유감입니다.)“GO ON의 경우”이번에는 GO ON의 경우입니다. 한 번 정리해보도록 하지요.GO ON -ING : 계속해오던 것을 이어가다.GO ON TO 동사원형 : 하던 것을 끝내고, 새로운 것을 하다.“GO ON”은 “…를 계속하다.”와 같은 의미로 쓰이는데요. 이 경우에는 동명사를 취하는 경우와 동사원형을 취하는 경우가 미세한 차이를 보입니다. 동명사를 취하는 경우, 기존에 해오던 것을 계속해서 이어가는 경우에 쓰이고, 동사원형이 쓰이는 경우에는 기존의 것을 끝내고, 다음으로 넘어가는 것을 가리키지요.“The president paused for a moment and then went on talking.” (대통령은 잠시 멈추었고, 이후 다시 이야기를 이어갔다.)“We need to change. We can’t go on living like this.” (우리는 변화해야 한다. 이렇게 계속해서 살아갈 수 없다.)이번에는 “TO 부정사”가 쓰인 경우입니다.“After discussing the economy, the president then went on to talk about foreign policy.” (경제에 대한 토론 이후에, 대통령은 외국 정책에 대해서 이야기를 이어갔다.)“동명사 & TO 부정사로 쓰여도 의미상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경우”여기까지, 동명사와 부정사에 따라서 내용이 바뀌는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요. 일부 동사의 경우에는 두 가지의 형태로 쓰여도 의미가 바뀌지 않기도 합니다.“GRAMMAR IN USE”에서 소개된 동사들은 아래와 같습니다.BEGIN : 시작하다.START : 시작하다.CONTINUE : 지속하다.INTEND : 의도하다.BOTHER : 신경 쓰다.한 번 문장에서 살펴보도록 하지요.“It started raining.” = “It started to rain.”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Andy intends buying a house.” = “Andy intends to buy a house.” (앤디는 집을 사려고 했다.)“Don’t bother locking the door.” = “Don’t bother to lock the door.” (문 닫는 것 신경 쓰지 마.)“BE -ING + TO 부정사”위에서 START의 경우, 아무 형태나 사용해도 문제가 없지만, “BE -ING”와 같이 진행형으로 쓰인 경우에는 주로 “TO 부정사”로 씁니다. 아래와 같이 말이죠.“It is starting to rain.” (비가 오기 시작했다.)위에서 “It is starting raining.”이라고 하면, 뭔가 어색해서, 이 경우에는 같은 형태의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STARTING TO RAIN”의 형태로 쓰는 것을 알아두면 되겠습니다.여기까지, TO 부정사와 동명사, 두 가지를 모두 취하는 동사의 경우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I104 동명사의 완료 시제(HAVING P.P)

By 소인배(小人輩).com | 2020년 1월 5일 | 
#I104 동명사의 완료 시제(HAVING P.P)계속해서 동명사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습니다. 한 문장에서 동사가 2개 필요한 경우, 뒤의 문장을 동명사로 만들어서 문자에서 활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I100 TO 부정사와 동명사 “들어가기” : https://theuranus.tistory.com/6206지금까지 살펴보았던 “동사 + 동명사(-ING)”의 형태가 바로 그것이지요. 여태까지 살펴본 바에 따르면 기본적으로 “동사 + 동명사”가 쓰이는 경우에는 “동명사”에 해당하는 동사가 기존에 등장했던 “동사”보다 시간상으로 먼저 일어나는 경우에 쓰는 경향이 강하다고 살펴보았습니다.그래서 아래와 같이 정리를 해보기도 했지요.1. (긍정문) 동사 + -ING : -ING하는 것을 동사하다.2. (부정문) 동사 + NOT + 동명사(-ING) : 동명사 하지 않는 것을 동사한다.“굳이 동명사에 “과거 시제”를 적용하는 경우”하지만, 간혹, 영어에서는 동명사에 굳이 과거 시제를 적용해서 말하는 경우가 있기도 합니다. 말 그대로, 그 사건이 시간상으로 한참 전에 일어났고, 그것이 현재는 이미 완료가 되어서 끝났다는 내용을 강조하고 싶은 경우에 쓰는 형태입니다.보통의 과거 시제의 경우에는 앞에서 살펴본 대로라면, “-ED”와 같은 과거 시제를 사용하게 되는데, “동사 + 동명사”의 형태에서는 뒤의 동명사를 “과거 시제”로 사용할 수가 없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기본적인 패턴이 깨져 버리게 되지요.이 경우에는 과거를 의미하는 다른 패턴을 빌려서 사용하게 되는데, 그렇게 빌려온 표현이 바로 “현재 완료”입니다. 현재 완료는 “현재 시제”이긴 하지만, 과거에 시작한 것이 완료된 것”을 의미하기도 해서, 과거에 시작한 어떤 것이 현재는 완료된 경우를 가리키는 경우에 사용하기에 안성맞춤이지요. 그래서, 이렇게 “현재 완료”의 “HAVE P.P” 형태를 “동명사(-ING)” 형태와 결합해서 아래와 같은 형태가 탄생하게 됩니다.- 현재 완료 : HAVE P.P- 동명사 : -ING- 동명사의 완료 시제 : HAVING P.P그래서 동명사에 “과거” 시제가 적용된 형태인 동명사의 완료 시제”는 “HAVING P.P”의 형태를 취하게 되지요.“동명사에 완료 시제가 쓰이는 경우”하지만, 기본적으로 “동사 + 동명사” 구조에서 동명사가 쓰이는 경우에는 “동명사”가 앞에 언급된 동사보다 먼저 일어나는 것을 담고 있기에, 완료 시제의 동명사를 쓰지 않고, 그냥 “동명사(-ING)” 형태를 사용해도 무방합니다.하지만, 특히, 어떤 일(동명사)에 해당하는 부분이 과거에 일어나서 이미 끝났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은 경우에 동명사의 완료 시제를 사용하게 됩니다. 아래와 같이 말이죠.“They admitted stealing the money.” (그들은 돈을 훔친 것을 시인했다.)“They admitted having stolen the money.” (그들은 돈을 훔쳤던 것을 시인했다.)위와 같이, 두 문장은 의미상으로 크게 차이는 없는데, “HAVING STOLEN”으로 쓰인 경우에는 “돈을 훔친 것”이 과거에 일어난 일이라는 것을 강조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아래의 문장도 마찬가지이지요. 두 가지로 모두 사용되는데, “HAVING P.P”로 쓰는 경우에는 “과거에 … 한 일”을 강조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합니다.“I now regret saying what I said.” (나는 내가 그 말을 했던 것을 후회한다.)“I now regret having said what I said.” (나는 내가 과거에 말을 했던 것을 후회한다.)이렇게 말이지요. 여기까지, “동명사”의 완료 시제 형태, “HAVING P.P” 형태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