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치사

Category
아이템: 전치(4)
포스트 갯수4

#I126 전치사의 TO / 부정사의 TO

By 소인배(小人輩).com | 2020년 1월 27일 | 
#I126 전치사의 TO / 부정사의 TO“TO”라는 단어가 한 가지 용도로만 쓰이면 참 좋을 텐데, 안타깝게도 TO는 “전치사”에도 있고, TO 부정사에도 있습니다.둘은 비슷하게 보이지만, 용도와 의미가 전혀 다르고, 쓰임도 전혀 다르기에 시험에서도 이 둘을 분간하는 문제를 자주 내기도 합니다. 특히, TOEIC 시험의 PART 5에서 좋아하는 문제가 바로 이러한 문제들이지요.“전치사의 TO”전치사는 앞에서 “명사” 앞에 위치하는 문장 성분이라고 살펴보았습니다. 이러한 전치사로는 “TO”를 비롯하여, “AT / IN / BY / ABOUT / ON / FROM”과 같은 다양한 전치사들이 있지요.이 중에서 전치사로서의 TO는 여러 가지 의미를 가지는데요. 장소나 목적지를 가리키는 의미에서부터 “PREFER A TO B”의 용법 등등 다양한 의미로 쓰입니다.“We went from Paris to Geneva.” (우리는 파리에서 제네바로 갔다.)“I prefer tea to coffee.” (커피 보다 차가 더 좋습니다.)“Are you looking forward to the weekend?” (주말을 기대하고 있습니까?)이렇게, 전치사로서의 TO는 결정적으로 “명사” 앞에 쓰인다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함께 쓰이는 단어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지요.“부정사의 TO”반면에 부정사로서의 TO는 전치사와는 달리 “TO” 다음에 “동사”가 옵니다. 그 이유는 간단한데요.한 문장 안에서 동사를 두 개 사용하고 싶은 경우, TO를 이용해서 동사와 동사를 이어주거나, 뒤에 오는 동사에 “-ING”를 붙여서 동사가 아닌 동명사를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으로 사용하는 것을 보았었습니다.TO 부정사는 결국, 동사와 동사를 이어주는 접착제이기 때문에 “TO + 동사원형”이 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지요.아래와 같은 경우가 바로 “TO”가 부정사로 쓰인 문장입니다.“We decided to travel by train.” (우리는 기차로 여행하기로 결심했다.)“Would you like to meet for lunch tomorrow?” (내일 점심 같이 할까요?)이렇게, 형태상으로 보면 같은 “TO”인데, 그 용법이 달라서, 전혀 다른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TO 부정사와 전치사 TO를 구별하는 방법은?”이러한 이유로 시험에서도 둘을 교묘하게 섞어놓고 구분하는 문제를 많이 내기도 하는데요. 그래서 결국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 그리고 올바른 영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둘을 잘 구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의미”를 보고 구분하는 것인데요. “TO 부정사”는 의미가 “뒤의 동사하기 위해서 앞의 동사한다.”라는 의미로 해석이 되는 것이기에, 이런 식으로 해석이 되는 경우라면 “TO 부정사”를 사용하면 됩니다.그렇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TO는 모두 전치사로 보면 되겠지요.두 번째 방법으로는 자주 쓰이는 패턴을 아예 외워두는 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전치사로 쓰이는 TO”가 들어간 표현으로는 “LOOK FORWARD TO”가 있는데요.이런 표현의 경우에는 아예 통째로 “LOOK FORWARD TO -ING”로 외워버리는 것이지요. 교재에서도 이 표현이 소개가 되어 있습니다.“Are you looking forward to going on holiday?” (휴가를 가는 것을 기대합니까?)그리고, PREFER 역시도 “PREFER A(-ING) TO B(-ING) 형태로 쓰이는 패턴이 있었지요.#I119 PREFER의 3가지 패턴 : https://theuranus.tistory.com/6225이 내용 역시도 교재에서 그대로 문장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I prefer driving to travelling by train.” (나는 기차로 여행하는 것보다는 차로 여행하는 것을 선호한다.)그리고, 당연히 앞에서 살펴본 규칙대로 “WITH / ABOUT” 등의 다른 전치사와는 모두 “명사” 혹은 “동명사”와 쓰입니다. 아래와 같이 말이지요.“I’m fed up with travelling by train.” (나는 기차로 여행하는 것에 지쳤다.)“How about going away this weekend?” (주말에 어디 떠나보는 건 어때요?)이렇게, “WITH / ABOUT” 전치사 뒤에는 “동명사”가 쓰인 문장이 교재에는 소개가 되어 있는데, 동명사뿐만 아니라, 명사가 쓰여도 상관없습니다.여기까지, “전치사”로서의 TO, 부정사로서의 TO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I124 접속사 / 전치사 “BEFORE / AFTER”

By 소인배(小人輩).com | 2020년 1월 25일 | 
#I124 접속사 / 전치사 “BEFORE / AFTER”예전에 “BEFORE / AFTER”라는 단어를 “가정법” 부분에서 살펴본 적이 있습니다. IF를 사용하는 가정법과 비교를 하면서 가정법과 비슷한 느낌을 가지는 “WHEN”을 사용한 표현을 살펴볼 때, WHEN 자리에 대신 넣을 수 있는 표현으로 “BEFORE / AFTER”을 함께 살펴본 것이지요.#I34 가정법 “WHEN을 사용하는 경우” : https://theuranus.tistory.com/6139“접속사로도 쓰이고, 전치사로도 쓰이는 BEFORE / AFTER”이번에는 사실 대단한 내용은 아닙니다. “BEFORE / AFTER”와 같은 표현의 경우에는 “접속사”로 쓰이기도 하고, “전치사”처럼 쓰이기도 하는 것을 언급하고 가자는 것이지요.앞에서 우리는 전치사는 명사 앞에서 쓰이는 것으로 배웠습니다. 그리고 접속사는 문장과 문장을 이어주는 것이라고 살펴본 적이 있지요.그래서 결론은 간단합니다. “BEFORE / AFTER”는 뒤에 “명사” 하나만 덜렁 사용해도 되고, 문장을 써주어도 되는 것이지요.그리고, 그 중간단계인, “동명사”를 사용해서 이어 줄 수도 있습니다. 이 내용이 바로 교재에서 이야기하고 있는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지요.“Before the meal, I phoned Sarah.” (식사 전에 나는 사라에게 전화했다.)“Before going out, I phoned Sarah.” (나가기 전에 나는 사라에게 전화했다.)“Before I go out, I phoned Sarah.” (나가기 전에 나는 사라에게 전화했다.)이렇게, 3가지의 형태로 모두 사용할 수 있는 것을 교재에서는 보여주고 있습니다. “AFTER”를 사용해서도 아래와 같이 문장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After lunch, I phoned Sarah.” (점심 식사 이후에 나는 사라에게 전화했다.)“After having lunch, I phoned Sarah.” (점심 식사 이후에 나는 사라에게 전화했다.)“After I had lunch, I phoned Sarah.” (점심 식사 이후에 나는 사라에게 전화했다.)모두 같은 내용인데, 위와 같이 여러 가지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여기까지, “GRAMMAR IN USE”에서 소개하고 있는 “BEFORE -ING / AFTER -ING”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I123 전치사와 동명사

By 소인배(小人輩).com | 2020년 1월 24일 | 
#I123 전치사와 동명사영어에는 우리말에는 없는 문장 요소인 “전치사”라는 것이 있습니다. 전치사는 영어로는 “PREPOSITION”이라고 쓰이는데요. 문자 그대로 놓고 보면, “앞에 위치하는 것” 정도로 옮겨볼 수 있습니다.여기에서 무언가의 앞에 위치한다는 것은 바로 “명사” 앞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는데요. 필요한 경우에 명사 앞에서 특별한 의미를 첨가하기 위해서 쓰이는 문장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핵심은 “명사” 앞에서만 쓰이는 것이라는 것이지요. 그래서 동사와 같은 문장 요소 앞에서는 쓸 수가 없습니다.“전치사에 관하여…”전치사에 관해서는 사실, “BASIC GRAMMAR IN USE”에서도 간략하게 살펴본 적이 있기도 합니다. 바로 “전치사 IN / AT / ON”을 시작으로, 하나씩 살펴본 적이 있기도 하지요.#B98 전치사 IN/AT/ON "시간의 경우" : https://theuranus.tistory.com/4011그래서 혹시나 전치사에 대해서 가물가물 하시면 위의 링크를 따라가서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순서대로 전치사에 관한 내용을 보시면 도움이 되겠지요.그런데, 사실 교재의 이번 챕터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내용은 바로 “전치사” 다음에 “동명사”를 이용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동명사는 “동사”에 “-ING” 형태를 붙여서 만드는 형태인데, 동사와 비슷하게 쓰이고, 거의 비슷한 의미를 갖지만, 문장에서 “명사처럼” 쓰이게 만드는 방법입니다.예를 들어서, “TALK”라는 동사에 “-ING”를 붙여서 “TALKING”으로 만들면, “말하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말하기”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지요.이러한 내용도 이전에 “BASIC GRAMMAR IN USE”에서 살펴본 적이 있습니다.#B109 전치사와 동명사(-ING) : https://theuranus.tistory.com/4022위의 링크를 타고 가면 같은 내용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BASIC GRAMMAR IN USE”에서는 간략하게 살펴보고 넘어갔으니, 이번에는 보다 자세히 살펴보고 넘어가 보도록 하지요.“동사 + 전치사 + 동명사(-ING)가 쓰이는 경우”우선 기본적으로 이렇게, 동사 다음에 목적어가 바로 나오지 않고 전치사를 사용하고, 목적어를 쓰는 동사들을 놓고 “자동사”라고 칭합니다. 자동사와 반대로 “목적어”를 바로 취하는 동사를 두고 “타동사”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영어에서 쓰이는 대부분의 동사는 타동사입니다.그래서, 타동사를 따로 분류해서 암기하기보다는 자동사를 따로 떼어서 암기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자동사는 주로 특정한 전치사와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은데요. 아래와 같은 표현들을 정리해볼 수 있습니다.아래에서는 자동사뿐만 아니라, “BE + 형용사 + 전치사”의 형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어차피 같은 내용이라 함께 알아두시는 것이 좋습니다.교재에서 소개된 내용을 한 번 정리해보도록 하지요.BE INTERESTED IN : … 에 흥미 있다.BE GOOD AT : …를 잘하다.BE FED UP WITH : …에 싫증 나다.BE TH”E ADVANTAGES OF : …의 장점THANKS FOR … : …에 감사하다.IN STEAD OF : … 대신에IN SPITE OF : … 에도 불구하고이러한 표현들을 살펴볼 수 있는데요. 교재에서는 아래와 같은 표현들로 소개가 되었습니다.“Are you interested in working for us?” (우리와 함께 일하는 것에 흥미 있습니까?)“I am not good at learning languages.” (나는 언어를 배우는 것에 소질이 없다.)“Sue must be fed up with studying.” (수는 공부에 싫증 났음에 틀림없다.)“What are the advantages of having a car?” (차를 소유하는 것의 장점이 무엇입니까?)“Thanks very much for inviting me to your party.” (저를 당신의 파티에 초대해주셔서 감사합니다.)“How about meeting for lunch tomorrow?” (내일 점심때 만나는 것은 어때요?)“Why don’t you go out instead of sitting at home all the time?” (하루 종일 집에만 있지 말고 좀 나가는 건 어때요?)“Amy went to work in spite of feeling ill.” (애미는 아픈데도 일하러 갔다.)이러한 문장들이 교재에서 소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문장도 소개가 되어 있습니다.“I am fed up with people telling me what to do.” (나는 나에게 이래라 저래라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싫증 났다.)위에서 “PEOPLE” 뒤에 “telling me what to do.”라고 쓰여 있는데, 여기에서는 “people who is telling me…”에서 “WHO IS” 부분이 생략된 관계대명사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자연스럽게 위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요.여기까지, 전치사와 동명사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I15 기간을 의미하는 FOR이 생략되는 경우

By 소인배(小人輩).com | 2019년 5월 2일 | 
#I15 기간을 의미하는 FOR이 생략되는 경우현재 완료 시제와 현재 완료 진행 시제에서 계속해서 이어지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번에는 “FOR / SINCE” 그리고, “WHEN / HOW LONG”에 대해서 비교해서 살펴보는 내용입니다.교재 UNIT 12에서는 “FOR / SINCE / WHEN / HOW LONG”을 모두 한 번에 소개하고 있는데요. 이전에 “BASIC GRAMMAR IN USE” 부분에서 “FOR / SINCE / AGO”를 살펴본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다루었던 글의 링크를 한 번 소개해보도록 하지요.#B17 FOR / SINCE / AGO : https://theuranus.tistory.com/3927“FOR = 기간 동안 / SINCE = ~이후로…”그래도 간략하게 위의 내용을 정리하고 넘어가면, FOR이 시간의 의미로 쓰인 경우에는 “특정한 기간 동안”을 의미합니다.아래와 같이 말이죠.For two hours : 2시간 동안For a long time : 오랜 시간 동안For a week : 1주일 동안For 20 minutes : 20분 동안For 5 days : 5일 동안그래서, 이렇게, 특정한 기간 동안이라는 의미를 전달하고 싶은 경우에는 문장에서 “FOR + 기간”을 첨부해서 이야기하면 됩니다.아래와 같이 말이죠.“Sally has been working here for six months.” (샐리는 여기에서 6개월간 일하고 있다.)SINCE의 경우에는 “~이후로…”라는 의미로 쓰이는데요. 특정한 기준점을 두고, 그 시간 이후로 쭉 무언가 연결되는 경우를 가리킵니다.아래와 같이 말이죠.Since 8 o’clock : 8시 정각 이후로Since April : 4월 이후로Since lunchtime : 점심시간 이후로Since Monday : 월요일 이후로Since I got up : 일어난 이후로그래서, 이렇게 특정한 기간 이후로… 라는 의미를 담은 말을 전달하고 싶은 경우에는 “SINCE + 특정한 시간”을 문장에 첨부해주면 됩니다.“Sally has been working here since April.” (샐리는 4월 이후로 여기에서 쭉 일하고 있다.)““FOR + 기간”에서 “FOR”을 생략할 수도 있다.”그리고, “FOR + 기간”을 문장에 첨부하는 경우에는 전치사 FOR을 생략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부정문에서는 “FOR”을 생략할 수 없습니다. 오직 긍정문에서만 생략이 가능하지요.아래의 예문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They have been married (for) ten years.” (그들은 결혼 생활을 10년간 하고 있다.) ☞ 긍정문에서 FOR 생략 가능“They haven’t had a holiday for ten years.” (그들은 10년간 휴가를 하루도 가지지 않았다.) ☞ 부정문에서 FOR 생략 불가능“ALL + 기간과 조합하는 경우, FOR을 사용하지 않는다.”그리고 같은 기간이라고 하더라도 “ALL”과 조합되는 경우에는 “FOR”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렇게 ALL과 조합하는 경우의 예로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겠지요.ALL DAY = 하루 종일ALL MY LIFE = 내 인생이라는 기간 동안그래서 아래와 같은 예문을 만들어 볼 수 있습니다.“I have lived here all my life.” (나는 여기서 평생 살았다.)“I have read this book all day.” (이 책을 하루 종일 읽었다.)여기까지, “FOR / SINCE”에 대한 내용을 다시 한번 살펴보면서, “FOR”이 생략 가능한 경우, 그리고 쓰이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관련 내용은 “GRAMMAR IN USE INTERMEDIATE”을 기준으로 “UNIT 12 - A”에 해당하는 내용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