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파영화

Category
아이템: 
포스트 갯수7

모던 타임즈 Modern Times (1936)

By 멧가비 | 2021년 11월 20일 | 
유성영화 시대의 도래와 함께 슬슬 채플린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되는 "떠돌이(The Tramp)"캐릭터. 이 영화도 시작은 떠돌이가 아닌 나름대로 성실한 공장 노동자로 시작한다. [자유를 우리에게]에서 그대로 옮겨온 끔찍한 노동 현장. 그리고 이내 다시 떠돌이로, 시대는 노동자 채플린에게 다시 떠돌이가 될 것을 종용한다. 발작에 가까운 직업병에 시달리고 기계에 집어삼켜지는 끔찍한 일을 겪고 나서도 일자리가 생기면 어디든 달려간다. 그렇게 웃지 못할 코미디로 채플린은 대공황을 스크린 위에 함축적으로 재현한다. 기괴하게 위엄있는 공장, 그렇게 으리으리한 기계 장치들이 있는데도 그 옆에 나사 조이는 노동자들이 줄 지어있다. 이 시점에서 이미 노동자와 기계 장치 사이에 구분이 없는 것이다. 오랜 시

시티 라이트 City Lights (1931)

By 멧가비 | 2021년 11월 20일 | 
도시의 위정자들은 평화와 번영을 상징하는 동상 앞에서 자신들의 형편을 자축하지만 같은 프레임 안에서 떠돌이(The Tramp)는 등 대고 맘 편히 누워 잘 곳 하나 갖지 못한 채 도시의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으며 쫓겨난다. 높으신 분들이여, 당신들이 뻑적지근하게 자축하는 그 도시의 풍요는 대체 누굴 위한 것인지요. 떠돌이 혹은 부랑자라 불리우는 하나의 캐릭터로 수십년, 이제서야 드디어 떠돌이에 대한 중요한 이야기를 하는 이 영화는 첫 씬부터 문제 하나를 툭 던지고 시작한다. 작년에 왔던 각설이처럼 채플린은 '유나이티드 아티스트' 설립 이후, [황금광 시대]에 이어서 또 한 번 떠돌이 캐릭터와 함께 장편 영화로 돌아온다. 제목이 중요한 영화이기도 하다. 여기서의 떠돌이에게는 세 가지의 빛이 있다. "눈

스포트라이트 Spotlight (2015)

By 멧가비 | 2021년 8월 2일 | 
겸손한 선인, 이기려 들지 않는 승자처럼 장르 플롯을 포기한 채 사무적인 태도로 일관하는 영화만의 장르적 쾌감. 극작가가 집필했다기 보다는 클립으로 묶인 사건 파일 꾸러미를 그대로 실사화한 듯한 무감각한 관조에서 오히려 (착시처럼) 어떠한 활극성이 느껴지는 것은, 오히려 영화의 중립적인 태도가 관객 안에 내제된 정의감을 더 잘 불러일으키기 때문일까. 이게 장르적으로 각색했다면 스포트라이트 팀원 중 누군가의 자식이 피해자였어야 하는데, 그런 거 없고, 등장인물 누구에게도 드라마를 부여하지 않는다. 사건이 있고 그것을 보도하는 저널리즘이 있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떠한 장르 활극성이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영화 속 언론과 스캔들의 관계가 명백히 선과 악의 대결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일 것이다.

어 퓨 굿 맨 A Few Good Men (1992)

By 멧가비 | 2021년 8월 2일 | 
픽션 속 미친 군장성의 특징. 자신이 곧 안보 그 자체라는 망상에 심각하게 빠져있다. 어찌보면 서글픈 얘기지만 조직 내에서 어떤 직책을 맡았던, 어떠한 한 개인도 대체불가능하지 않다. 누가 사라지면 다른 누군가가 어떠한 형태로든 그 자리를 채우거나, 아니면 그냥 빈 자리는 비어있는 채로 집단은 굴러간다. 마이클 잭슨이 사망했어도 미국 팝은 멸망하지 않았고 마이클 조던이 늙었어도 여전히 미국 농구는 최강이다. 그러나 높은 자리를 차지했거나 거대한 무언가를 틀어쥔 사람들은 종종 망각한다. 자신으로 "대변될 뿐인" 그 위엄이 곧 자기 자신이라고 말이다. 그 지점에서 비극이 발생한다. 소속된 조직의 중요도와 자기 자신을 동일시해버리면 자신을 대체불가능한 존재라 과대평가하게 된다. 자기 자신이 대체불가능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