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덕기

Category
아이템: 송덕기(4)
포스트 갯수4

박철희 사범님 별세.

By 경당 | 2016년 4월 3일 | 
박철희 사범님 별세.
기록 상 광복 후 송덕기 옹에게 처음 택견을 배우셨던 박철희 사범님이 별세하셨다.박철희 사범님은 태권도, 택견 양쪽 모두 원로이신 분으로 YMCA권법/태권도 외에 택견에도 각별한 애정을 가지고 계셨다.내가 협회에서 잠시 일하던 시절에 종종 사무실에 오시는 박철희 사범님을 뵌 적이 있는데 송덕기 옹에 대한 이야기를 이것저것 궁금한 것을 여쭈면 호호 할아버지처럼 웃으시며 이것저것 이야기를 들려주신 적이 있었다. 송덕기 옹의 택견을 처음 보셨을 때 정말 대단히 인상 깊으셨던 모양인지 그 이야기를 할 때 생기가 도는 모습을 보이시기도 했다. 내 경우는 구심 무에타이의 오성일 관장님의 근접전투 세미나에서 보여주신 잽에서 굉장히 신선한 충격을 받았었는데 아마 박철희 사범님도 그러셨는지도... 생전에 태권도로

새로운 증언.

By 경당 | 2015년 10월 28일 | 
결련택견협회의 이재성 관장님이 운영하시는 강원 본부 원주전수관에 방문하신 분이 알고보니 1984년에 송덕기 옹에게 배우신 분이었다고 한다. 1년 반 정도 배우셨다고 했나...? 열정적이신 이재성 관장님이 녹취를 하신 내용을 페북에 올리셨고 흥미로운 내용이기도 하고 정보도 공유할 겸 해서 퍼옴. ================================================================================= 결련택견협회 강원 본부 원주 전수관10월 26일 오후 12:19 · 수정됨 · 84년에 송덕기옹에게 배우신 선생님과의 대화를 공유하려한다.이유는 택견의 좀 더 발전을 위함이기에 개인적인 생각은 잠시 접어두고 글을 보아주길 바라며 이글을 가지고 정통성 시비나 옳고 그름을

택견 겪어 보니 호전적인 무술

By 요가라테의 코어운동 | 2015년 5월 27일 | 
택견 겪어 보니 호전적인 무술
송덕기옹 할아버지 : 드루와 드루와 시방 드루와 부드러운 움직임 , 이크 에크 굼실 굼실 거리는 움직임 잡고 넘기고 툭툭 차기도 하고 날랜 움직임을 보여주는 택견이라는 무술은 마치 씨름과 태권도를 합쳐 놓은거 같다.택견은 크게 윗대 아랫대 이런식으로 나뉘는것 같은데 나같은 사람이 보기에는 그저 다 같은 택견으로 보인다.디테일한 부분에서 많이 다른듯 하니 택견이라는 무술안에 유파라는 개념으로 나뉘는것 같다. 살면서 가장 호전적인 무술이 '태권도'와 '가라테' 였다. 이건 무술이 사람을 바꾸는것인지 호전적인 사람이 태권도와 가라테를 하는건지 알수 없지만 '대련' 하기 좋아 하고 승부에 대한 집착이나 기술에 대한 애착 그리고 무술에 대한 자부심이 높았다.(심지어 실전에서도 잘싸웠다.태권도 하는 사

택견 역사왜곡에 대하여.

By 경당 | 2014년 4월 12일 | 
택견 역사왜곡에 대하여.
택견에 관한 웃긴 글을 봤다. 택견에 관한 웃긴 글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이건 택견에 대한 역사왜곡이 도를 넘어선 점이 있어서 그 부분들에 대해서는 택견꾼으로 한마디 하지 않고서는 넘어가지 못하겠다. [한민족 무예 뜨거운 魂을 뿜어내다.-국방일보]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제76호로 지정(1983. 6. 1)된 택견은 세계 각국의 수많은 무술 가운데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유산으로 유일하게 등재(2011. 11. 28)된 우리의 전통무술이다. 유네스코는 한국 문화재청의 다음과 같은 지정 사유를 등재 요건으로 받아들였다. ▲손발과 몸동작이 유연해 근육 움직임과 일치하고 자연스럽게 공방할 수 있다 ▲무용·음악적인 신체 리듬이 고도의 예술성을 지닌 유희로 평가된다 ▲상대방 결점을 찾아내 손쉽게 승부를 내며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