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수단물

Category
아이템: 
포스트 갯수3

소스 코드 Source Code (2011)

By 멧가비 | 2017년 3월 7일 | 
소스 코드 Source Code (2011)
세 가지 장르 플롯이 존재한다. 타임루프, 평행우주 그리고 수사물. 그러나 세 파트가 전혀 무관한 다른 영화처럼 보인다는 게 문제. 또 각 파트들은 일관되게 설득력이 약하다. 그리고 셋 중 어느 한 쪽도 메인 플롯이 아니다. 이건 설정에만 의존하고 각본은 무성의한 거다. 주인공은 전혀 연관성 없는 세 가지를 동시에 진행한다. 도입부에서 부여받은 소스 코드 임무. 소스 코드 바깥에 있는 현실 세계 자신의 신변 정리, 그리고 여자 꼬시기. 하나의 플롯이 나머지 것들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 구조로 그저 비비지 못한 비빔밥처럼 뒤엉켜있기만 하다. 생판 처음 본 데다가 몇 마디 나누지도 않은 여자에게 갑자기 사랑을 느껴, 모든 임무의 초점이 여자를 구하는 것으로 맞춰지는 순간 나머지 것들은 그저 들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 SULLY (2016)

By 멧가비 | 2016년 12월 7일 | 
설리: 허드슨 강의 기적 SULLY (2016)
설렌버거는 영웅인가 사기꾼인가? 설리의 꿈에 나오는 질문이지만 실질적으로 설리 본인이 영화 내내 스스로를 괴롭혔던 자문(自問)이기도 하다. 물론 설리가 "영웅"이라는 것은 결과적으로 이미 나와있는 답이다. 영화는 본질적으로, 영웅을 영웅답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를 탐구한다. US 에어웨이즈 1549편 기장 설렌버거는 비행 경력 40년의 베테랑. 은퇴를 앞둔 설리가 자신을 둘러싼 영웅담에 확신하지 못하는 것은 명백히 "장인(匠人) 정신"에서 기인한다. 155명을 무사히 살려내고도 남아있는 고민은 "판단이 옳았느냐"에 대한 것인데, 이는 장인으로서의 자존심이기도 하다. 수십 년을 자신의 위치에서 흔들리지 않고 한 자리를 지킨 장인이 돌발 상황에서 의지한 것은 메뉴얼이 아닌, 자신의 경력과 스스로

부산행 (2016)

By 멧가비 | 2016년 9월 17일 | 
부산행 (2016)
열차에 탄 인물들은 크게 나누면 세 개의 세대로 구분할 수 있다. 중년. 노년 그리고 경제 활동을 하지 않는 미성년자 세대. 경제와 성장의 논리에 도덕을 잃고 타락한 현 중년 세대와 그를 바라보는 위 아래 두 세대의 이야기가 되는데, 결국 타락한 세대의 몰락으로 귀결된다는 점에서는 다른 형태의 '노아의 방주' 이야기일 수도 있겠다. 김의성은 나름대로 자수성가한 386 세대 출신 중년이다. 초반부의 행동들은 냉혹하지만 동시에 합리적이라 할 수 있었으나 공유를 감염자로 몰아간 이후부터 그는 명백히 이기주의를 넘어 악이다. 처음에 공유를 부추겨 마동석과 정유미가 들어올 문을 닫게 한 것도 김의성이었다. 공유는 이기주의 까지는 가지 않은 차가운 개인주의 영역에 있는 인물로, 사람을 '개미'로 지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