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탐정피카츄

피카츄 보러갔다가 단체로 기겁한 캐나다 아이들

By 이것저것 | 2019년 5월 21일 | 
5월 9일 캐나다 몬트리올의 Guzzo Marché Central 극장에서 벌어진 일 1 .애들이 명탐정 피카츄 보러감. 2. 애나벨 - 집으로 예고편 나옴. 아이들 당황 눈물 터짐 3. 애나벨 끝나고 조커 신작 예고편 나옴. 심오한 분위기. 아이들 긴장감 고조 4. 바로 이어서 사탄의 인형 예고편 나옴. 스크린에 처키 등장 아이들 동공 지진 5. 여차저차해서 넘어가고 본 영화 시작. 컨저링 감독인 호러 거장 제임스 완의 신작 '요로나의 저주' 상영 시작. 아이들 대환장 쇼크 현장에 있던 Ryan George란 사람이 이걸 실시간으로 트윗으로 알림. 알고보니 극장측에서 명탐정 피카츄 상영관이랑 요로나의 저주 상영관이랑

명탐정 피카츄 (Pokemon Detective Pikachu, 2019)

By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2019년 5월 19일 | 
명탐정 피카츄 (Pokemon Detective Pikachu, 2019.5.9 개봉) 아저씨 목소리인데도 피카츄 귀여워! 바람직한 실사화! 이렇게 이 영화를 정의내릴 수 있겠다. 포켓몬스터처럼 실사화하기 힘든 작품을 잘도 실사 영화로 만들어냈다. 대체로 만화나 게임 캐릭터를 실제 영화로 만들었을 때에는 징그러워지는 것이 당연하다. 그런데 어째 피카츄는 원작이나 기존에 봉제인형으로 나왔던 것보다도 이번 영화 버전이 훨씬 귀엽다. 실제로 있는 귀여운 포유동물 같은 느낌으로 피카츄를 잘도 표현해냈다. 원작은 3DS 게임 '명탐정 피카츄'. 스토리도 원작에서 많이 따왔다. 다른 점은 아저씨 목소리 피카츄의 정체를 영화 속에서 확실하게 드러낸 것이다. 포켓몬 배틀이 없는 도시. 포켓몬과 인간이 함

명탐정 피카츄

By DID U MISS ME ? | 2019년 5월 18일 | 
만화든 애니메이션이든 게임이든. '포켓몬스터'를 떠올렸을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구조는 누가 뭐래도 배틀물로써의 이미지다. 꼬맹이 한 명이 여기저기 쏘다니면서 파티 만들어 포켓몬끼리 쌈 붙이는. 때문에 이 실사화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 그런 의문이 들었다. 대체 왜 '명탐정 피카츄'인 걸까- 하는. 근데 영화를 막상 보니 왜 그런지 알겠더라. 일단 실사화가 그런 방향을 진행되었다면 이야기 자체의 전형성도 문제지만 진행 자체가 지지부진 했을 거다. 한 시즌짜리 TV 시리즈면 또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이건 90분여의 런닝타임 안에서 다 쇼부 봐야하는 '영화'인 거잖아. 또 한 가지 문제는, 이 콘텐츠를 실사로 옮겼을 경우 가해질만한 비판점들 역시 명확 했다는 점. 안 그래도 원작 보고 동물학대 쇼라 분분한데,

명탐정 피카츄(Pokémon: Detective Pikachu, 2019)

By being nice to me | 2019년 5월 16일 | 
괴물 영화에 올인하고 있는 레전더리 픽쳐스의 포켓몬 실사판...그러고 보니 킹콩, 고지라에 포켓몬까지...거기 더해서 오리지널인 퍼시픽 림...괴물 영화만 놓고 보면 디즈니급인데 결과의 차이는...역시 괴물 영화의 한계인가? 전체적으로는 뮤츠의 역습으로 시작한 뒤 주토피아에 포켓몬을 끼얹어서 라임시티를 구축하고 1989년 팀버튼의 배트맨을 연상시키는 클라이맥스를 지나 다시금 뮤츠의 역습으로 끝나는 느낌입니다. 내용은 스스로 선을 그어놓고 그걸 안넘어가는 식으로 상당히 얌전하지만 안정적이라서 어찌보면 심심할 수도 있겠네요. 그런 부분을 포켓몬이라는 IP로 커버하는 느낌입니다. 포켓몬(특히 게임)은 아무리 포장을 그럴싸하게 해도 사실상 밀렵+투견과 다를바 없다보니 동물학대 요소가 제법 되는데, 라임시티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