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FORCE

Category
아이템: 
포스트 갯수4

[FC] 스타포스 AC (STAR FORCE AC, 1999, KASION)

By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2013년 1월 16일 | 
[FC] 스타포스 AC (STAR FORCE AC, 1999, KASION)
[FC] 스타포스 AC (STAR FORCE AC, 1999, KASION) 닌텐도 패밀리컴퓨터용 허드슨판 스타포스를 NES용 테크모판 스타포스처럼 그래픽을 수정한 동인 게임. 이런 쪽에 나름 정평이 나있는 KASION이라는 동인이 제작했다. NES용 테크모판 스타포스 역시 원작에 비해 아쉬운 점이 많았는데 그걸 좀 더 손본 버전이다. 다만 패미콤 용량 한계 때문인지 이 동인 수정판 역시 상형문자 배경은 재현해내지 못했다. 타이틀 화면 비교. 상단 왼쪽이 원작, 오른쪽이 허드슨판. 하단 왼쪽이 테크모판, 오른쪽이 KASION판. (이후 비교컷 전부 순서 동일) 로고 디자인은 물론 1 COIN 1 PLAY까지 원작 그대로 재현한 센스! 플레이어의 전투기 '파이널 스타'비교. 훨씬 입

[FC] 스타포스 (STAR FORCE, 1987, TECHMO)

By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2013년 1월 15일 | 
[FC] 스타포스 (STAR FORCE, 1987, TECHMO)
[NES] 스타포스 (STAR FORCE, 1987, TECHMO) 아케이드용 명작 슈팅게임 '스타포스(1984)'를 개발한 테칸(TEHKAN)이 테크모(TECHMO)로 사명을 변경하고, 닌텐도의 서드파티에 들어간 이후에 북미 한정으로 제작한 NES판 스타포스. 닌텐도 패밀리컴퓨터판 스타포스(1985)는 허드슨에서 이식을 담당했으나 북미 대상 NES판 스타포스는 원래 제작사인 테크모에서 직접 담당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사에서 만든 만큼 허드슨판에 비해 좀 더 원작에 근접하게 만들려고 노력한 흔적이 보이는 게임이다. 타이틀 화면. 허드슨판과 로고부터 다르다. 그렇다고 원작 로고와도 다른 것이 기묘하다. 적들의 움직임 알고리즘이 좀 더 아케이드판과 비슷해졌다. 플레이어 전투기인 '파이널

[FC] 스타포스 (STAR FORCE, 1985, HUDSON)

By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2013년 1월 14일 | 
[FC] 스타포스 (STAR FORCE, 1985, HUDSON)
스타포스 (STAR FORCE, 1985.6.25, HUDSON, 4900円) 1984년 테칸(현 테크모)에서 오락실용으로 발매한 슈팅게임의 명작 '스타포스'를 허드슨에서 닌텐도 패밀리컴퓨터용으로 이식한 버전. 허드슨의 전국 게임대회 '허드슨 제1회 전국 캬라반 공식 소프트'가 바로 이 '스타포스'였다. 허드슨의 나타모토 신이치(中本 伸一)가 이식을 담당했으며 패미콤 기기 한계상 많은 부분이 그레이드 다운되었지만 초창기 패미콤 게임치고는 꽤 할만한 명작 슈팅게임이다. 타이틀 화면. 원작의 TEHKAN과 패미콤 이식을 담당한 HUDSON의 저작권 표시가 함께 되어있다. 적기의 움직임은 그럭저럭 원작을 재현하려고 노력했다. 다만 기기 성능상 원작처럼 '편대'가 하나의 오브젝트인 개념으로 따

스타포스 (STAR FORCE, 1984, TEHKAN)

By 플로렌스의 네티하비 블로그 | 2013년 1월 14일 | 
스타포스 (STAR FORCE, 1984, TEHKAN)
스타포스 (STAR FORCE/MEGA FORCE, 1984, TEHKAN) 테칸(현 테크모)에서 개발한 아케이드용 슈팅 게임. 남코에서 만든 혁명적인 슈팅게임 '제비우스'를 의식, 공중과 지상의 적을 상대하는 종스크롤 슈팅게임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제비우스'의 적이 인공지능을 갖고 플레이어의 움직임에 반응하며 공격해왔던 것과 달리, 스타포스의 경우엔 당시에 막 나온 SENJYO 기판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하여 적들이 아름다운 곡선을 그리며 화려한 움직임을 보여줬고 독특한 알고리즘에 따른 편대비행이 매력적이었다. 편대인 경우 연사를 해서 특정 적이 아닌 편대 전체를 파괴하는 쾌감 또한 만점. 횡스크롤인 것 뿐 아니라 좌우로도 약간씩 스크롤이 되고, 부정형의 스테이지 구성에, 제비우스를 능가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