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욱감독

Category
아이템: 김진욱(1960)(2)
포스트 갯수2

이성열-오재일 트레이드. 유망주라는 이름의 함정?

By 정공의 활자로 읽는 야구 | 2012년 7월 9일 | 
이성열-오재일 트레이드. 유망주라는 이름의 함정?
(이성열과 오재일, 두 거포 선수의 트레이드. 이성열의 현재냐, 오재일의 미래냐.) 유망주라는 것을 긍정적으로, 그리고 부정적인 시각 모두를 품고 있는 표현이 있다. 바로 ‘언제 터질지 모른다’라는 것이다. 언제 터질지 몰라서 소중히 품안에 데리고 있어야 한다는 뜻과 언제 터질지 모르니 즉시전력에 미치지 못한다는 뜻 역시 가지고 있다는 말이다. 실제로 프로 입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류현진 같이 빵 터진 케이스도 있고, 노망주 소리를 듣는 30대에 자신의 진가를 보이는 경우도 있다. 문제는 그도 저도 아닌 경우도 많다는 것이다. 구단은 유망주에게 다른 선수들보다 많은 기회를 줄 수밖에 없고, 그로인해 다른 선수들은 기회를 제한 당하기도 한다. 1군과 2군의 수준차이는 분명 존재하나, 2군에서 날아다니는 선

4연패에 몰렸던 두산, 임재철의 허슬이 해냈다.

By 정공의 활자로 읽는 야구 | 2012년 5월 11일 | 
4연패에 몰렸던 두산, 임재철의 허슬이 해냈다.
(9회말 2아웃. 투수도 타자도 단 하나의 아웃 카운트만 남긴채 상황. 그리고 임재철. -사진: 두산 베어스) 마지막 이닝에 마지막 투구가 포수의 미트에 들어갈 때까지, 게임의 끝은 아무도 모른다. 그렇기에 팬들이 야구에 열광하는 것이고, 9회까지의 시간이 아깝지 않은 것이다. 10일 잠실구장에서 열린 두산 베어스와 sk와이번스의 경기도 그랬다. 9회말에 벌어진 역전 드라마. 잠실구장을 하얗게 불태운 역전승의 주인공은 두산 베어스였을까, SK 와이번스 였을까. 출발은 홈팀인 두산이 좋았다. 시작이 절반이라는 말이 있듯, 2회 최준석이 솔로홈런을 터트리며 선취점을 얻었고 양의지와 임재철의 연속안타가 터지며 2,3루의 찬스가 왔다. 경기 초반부터 멀리 달아날 기회였다. 후속타자인 허경민의 귀신같은 적시타가 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