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덕수

Category
아이템: 송덕수(3)
포스트 갯수3

대전웃다리농악 하계전수마당 '심쿵∼'하네

By 대전광역시 공식블로그 | 2018년 8월 20일 | 
연일 최고 35도℃를 넘나드는 더위.    가만히 있어도 땀이 흐르는 날씨에도 불구하고 전통농악을 익히느라 땀흘리는 사람들이 있어요. 대전웃다리농악전수교육관에서 2주간 진행된 '하계전수마당' 현장입니다 .   대전웃다리농악 전수교육관     지난 7월 30일부터 8월 3일까지 5일간 '심쿵∼마음을 울려라'라는 제목으로 열린 프로그램은, (재)대전문화재단에서 주최하고 대전웃다리농악보존회에서 진행하는 하계전수마당으로, 올해로 벌써 22회째를 맞았는데요. 일반 청소년 30여 명이 참여해, 비합숙(수강료 무료)으로 진행됐어요.     2차는 대전웃다리농악보존회 주최로 열렸는데요. 웃다리농악을 배우고 있는 초등학생부터 60대까지, 100 명 안팎의 인원이 참가해 (수강료는 유료) 6일부터 5일간 합숙을 하며 실력을 다졌습니다.   하계전수마당이 진행되는 기간인 지난 7월 31일과 8월 6일에는 프로그램 참가자들과 일반시민 관람자가 모인 가운데 웃다리농악보존회의 공연이 펼쳐졌습니다.   웃다리농악 보존회의 공연 '북치고 장구치고' 2차 웃다리농악 하계전수마당에는 대암초등학교와 유천초등학교 농악반 어린이들과,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구암풍물부', 을지대학교 풍물동아리 '악', 법2동 풍물단, 옥천군 청성면 풍물단, 청양웃다리농악보존회, 대전무형문화전수학교 문하생 등 100 여 명이 참석을 했는데요. 가장 어린 초등학교 4학년생부터 65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연령층이 모였습니다.   저는 현장에서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풍물부 학생들을 만나보았어요.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풍물부. 왼쪽에서 두번째 세번째가 이현재군, 한상희양 한상희 양(1학년)은 '구암풍물단'에서 꽹과리를 치고 있는데요. 초등학교 때는 북을 쳐본 경험이 있다고 해요. 고등학교에 입학해서 붕물부에 가입을 했고, 이런 합숙훈련을 처음이라서 기대가 많이 된다고 합니다. 이현재 군(2학년)은 소고와 상모를 돌리고 있다고 하는데요. 소고잽이라고 하지요. 아는 형의 추천으로 풍물부에 들었는데, 4물 악기보다 상모에 매력을 느껴 시작하게 됐답니다. 주변에서 완전히 프로의 실력을 가졌다며 부러워 하는데요. 앞으로 취미에서 나아가 전통연희학과 진학 등 전공으로 택할 생각이라고 해요.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구암풍물부는 해마다 전국농악대회에서 상을 휩쓸 정도로 실력을 인정받고 있어요. 올해도 10월에 있을 전국대회를 대비해서, 이번 합숙훈련기간동안 확실히 연습을 하겠다고 하네요.   대전웃다리농악보존회 송덕수회장은 "웃다리농악의 진법, 상모, 스텝 등 웃다리농악의 판굿을 참가자들의 실력 수준과 연주 분야에 따라 맞춤 집중교육으로 운영할 예정"이라며 "실력을 다지기 위해 참여한 만큼 열심히 임해주기를 바란다고"고 당부했습니다. 대전무형문화재 제1호 웃다리농악 송덕수보유자(대전웃다리농악보존회장)   대전웃다리농악 하계전수마당은 송덕수 대전무형문화재 제1호 대전웃다리농악 보유자를 비롯한, 보존회의 이수자들이 참여해 악기별 기능별로 꼼꼼히 지도해줍니다.   이번 하계전수마당에 참여한 어린이와 청소년을 비롯한 웃다리농악 문하생들의 열정이 폭염을 이길만큼 뜨거웠다는 소식입니다.        2018 대전광역시 소셜미디어기자 조강숙

방방곡곡 찾아가는 무형문화재! 대전무형문화재를 즐기자!

By 대전광역시 공식블로그 | 2018년 8월 16일 | 
    '방방곡곡 찾아가는 무형문화재' 행사가 7월 27일 오후 7시 30분 서구 관저문화회관 공연장에서 열렸습니다. 5개 자치구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이번 행사는 서구민과 함께 첫 번째 공연을 시작했습니다.     대전무형문화재전수회관 전통진흥팀 강은주 씨의 사회로 공연이 진행됐는데요. 우리지역의 무형문화재를 알리고 대전시민들과 함께 전통문화를 함께 즐기는 자리였습니다.         대전무형문화재 제23호 ‘대전향제줄풍류’와 대전무형문화재 제1호 ‘웃다리공연’이 진행됐습니다. 서구 주민과 학생들이 참석해 우리 무형문화재 공연을 관람했습니다.         이후영 대전향제줄풍류 보존회장이 무대에 올라 운을 띄웠습니다.    “대전은 옛날부터 충정 박팽년, 사계 김장생, 문경 김집, 우암 송시열, 동춘당 송준길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는데요. 선비들의 글을 읽는 소리를 들어 봤나요? 글을 읽을 때는 옛날 선비들은 운율을 넣어 읽었습니다. 하루 종일 읽어도 지루하지 않았습니다.”         대전향제줄풍류는 양금, 거문고, 가야금과 같은 현악기가 중심이 되고, 세피리, 대금, 해금, 단소, 장구를 더해 8종 악기로 연주합니다.         대전무형문화재 제23호 '대전향제줄풍류'는 공부하는 선비들이 수신과 풍속교화를 목적으로 즐기던 음악입니다. 대전지역에 남아있는 옛 악기를 살펴보면 오래전부터 전승된 음악이라고 추정되는데요. 옛 기록을 많이 찾을 수는 없지만, 1934년 매사 이경호 선생이 이 지역 풍류인 허복남 선생과 아악부 교사 최응모 선생에게 풍물을 배웠는 기록이 '금쟁보'에 나왔습니다.         첫 번째로 강주희 선생이의 피리독주가 있었습니다. 이어 고민정 선생의 양금과 이후영 선생의 단소가 어우러진 양단병주 연주곡이 무대에 올랐습니다. 세 번째는 정선이 선생의 거문고와 고정민 선생의 장구가 함께하는 거문고 산조가 울려퍼졌습니다.         웃다리공연은 지역에 따른 분류 명칭으로서 충청·경기지역의 농악을 말합니다. 즉 농악은 지역적으로 충청·경기의 웃다리농악과 호남지역의 우도농악, 좌도농악, 영남농악, 영동농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대전웃다리농악이 다른 지역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칠채가락과 무동 타기입니다.           대전웃다리농악은 1989년 대전시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됐는데요. 웃다리농악 송덕수 보유자는 故 월해 송순갑 선생의 자제로, 어려서부터 농악을 배웠습니다. 현재는 웃다리농악보존회장으로 대전웃다리농악의 보존과 전승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송덕수 보유자가 웃다리농악 이야기를 들려줬습니다.   “오늘 신명나게 즐기세요. 웃다리농악은 경기·충청지역에서 잘 알려져 있습니다. 1974년에 아버님이 대덕구 법동에서 시작하셨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꽃게가 많이 나온다는 청양 대치면이 있습니다. 이곳은 부여와 인접한 지역입니다. '까치네 다리'가 1935년부터 1940년까지 만들어졌습니다. 이 다리를 중심으로 위쪽으로 한편이 갔고, 아래쪽은 아버님이 맡아서 하셨습니다.   사물놀이 김덕수 씨는 법동집에서 아버님에게 배웠는데요. 지금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사물놀이 보유자가 됐습니다. 1970년대 후반에 사물놀이가 만들어졌습니다. 지금은 풍물단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공연은 약 1시간 반에서 2시간이 소됩니다. 오늘은 약30분으로 축소하여 개인놀이와 전체놀이로 공연을 하겠습니다.”           신명나는 웃다리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 단원들이 공연하는 모습을 송덕수 회장이 조용히 바라보고 계셨습니다.         앞으로 열리는 방방곡곡 찾아가는 무형문화재 공연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덕구민과 함께하는 둘째 마당 8월 29일(수) 오전 10시 30분 / 대전무형문화재 제20호인 ‘대전의 앉은굿’과 대전무형문화재 제8호인 ‘매사냥’   유성구민과 함께하는 셋째 마당 9월 19일(수) 오전 10시 30분 / 대전무형문화재 제2호 ‘살풀이춤’과 대전무형문화재 제22호 판소리 ‘춘향가’   동구민과 함께하는 넷째 마당 10월 24일(수) 오전 10시 30분 / 대전무형문화재 제13호 ‘들말두레소리’와 대전무형문화재 제15호 ‘승무’   중구민과 함께하는 다섯째 마당 11월 28일(수) 오전 10시 30분 / 대전무형문화재 제17호 ‘판소리고법’과 대전무형문화재 제21호 판소리 ‘입춤’              

얼쑤~대전무형문화재 공연! 11월까지 방방곡곡 찾아가요

By 대전광역시 공식블로그 | 2018년 7월 25일 | 
  대전무형문화재 예능종목은 제1호 웃다리농악부터 제23호 대전향제줄풍류까지 다양하게 지정되어 있는데요. 이러한 대전무형문화재 예능종목 공연을 우리 동네 가까운 곳에서 감상할 수 있는 시간이 마련됩니다.    '방방곡곡 찾아가는 무형문화재'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대전무형문화재 예능종목 보유자     이번 행사는 7월 27일(금) 저녁 7시 30분 대전 서구 관저동 '관저문예회관'에서 시작되는데요. 11월까지 매월 1회 5개 구로 찾아갑니다. 물론 해당 구 주민들만 관람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대전시민 모두에게 열려 있답니다. 첫번째 순서로 서구에서 선보일 대전무형문화재는 제23호 '대전향제줄풍류'와 제1호 '웃다리농악'이에요. 대전무형문화재 제23호 대전향제줄풍류 대전향제줄풍류는 대전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현악영산회상으로, 양금, 거문고, 가야금의 현악기가 중심이 되는데요. 세피리, 대금, 해금, 단소, 장구를 더해 8종 악기로 연주합니다.  대전향제줄풍류는 선비들이 공부하는 여가에 수신(修身)과 풍속교화를 목적으로 즐기던 음악이라고 하는데요. 대전지역에 남아있는 옛 악기로 본다면 꽤 오래 전부터 전해오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옛 기록은 없다고 해요. 1934년 매사 이경호 선생이 이 지역 풍류인 허복남 선생과 이왕직 아악부교사 최응모 선생에게 풍류를 배우고 기록한「금쟁보」를 그 바탕으로 하고 있다네요.   대전향제줄풍류는 2016년 대전시 무형문화재 제23호로 지정됐는데요. 전승과정에서 발생한 많은 자료로 여러 편의 석·박사 논문이 발표됐어요. 풍류용어, 악보 기보법, 기본음 잡기, 악곡 연주와 흐름, 연주하는 순서, 각 악기의 연주 특성 에서 대전향제줄풍류만의 고유한 특성이 있는 것으로 학계에서 평가하고 있습니다.   2017 '함께 인간문화재' 행사에서   이번 연주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피리독주 _ 상령산         향피리로 영산회상 <상령산>을 화려한 가락으로 풀어서 연주한다.   2. 양단병주 _ 타령         양금과 단소로 연주하는데 <타령>은 풍류곡 가운데 11번째로 빠른 8박자의 3장 32장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3. 거문고독주 _ 산조         한갑득류를 진양조로 시작하여 중모리-엇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를 연주한다.   4. 관현합주 _ 뒷풍류         풍류곡 가운데 13번째 빠른 8박의 <계면가락>과 14번째 빠른 4박의 <양청>과 15번째 빠른 8박의          <우조가락>을 연주한다. 대전무형문화재 제1호 웃다리농악. 2017 토요상설공연 중 웃다리농악은 지역에 따른 분류 명칭으로서 충청·경기 지역의 농악을 가리킵니다. 농악은 지역적으로 충 청 · 경기의 웃다리농악과 호남지역의 우도농악·좌도농악, 영남농악, 영동농악으로 나눌 수 있는데요. 대전웃다리농악이 다른지역과 구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칠채가락과 무동타기입니다. 대전웃다리농악은 1989년 대전시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됐는데요. 웃다리농악  송덕수 보유자는 故 월해 송순갑선생의 자제로 어려서부터 농악을 몸에 익혔고요. 제90회 전국 체육대회 개막식 풍물공연 연출, 세계풍물지도자상, 한국예술총연합회 예술인상, 대전광역시장 감사패를 수상했습니다. 송덕수 보유자는 현재 대전웃다리농악보존회장으로 대전웃다리농악의 보존과 전승활동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이번 공연에서는 '판굿 및 개인놀이'를 펼치게 되는데요.    공연은 인사굿 → 돌림벅구 → 당산벌림 → 칠채오방감기와 풀 기 → 무동 쾌자놀이 → 소고 절대굿놀 이 → 십자걸이 → 사통백이 → 원좌우치기 → 네줄좌우치기 → 쩍쩍이 → 풍년굿 → 고사리꺾기 → 도둑굿 → 소고판굿놀이 → 무동꽃받기 → 개인놀이(따법구, 상쇠놀이, 설장구, 무동꽃받기, 긴채상놀이, 살판·버나 등) → 뒷풀이 → 퇴장굿 순으로 진행이 됩니다. 대전웃다리농악은 공연을 볼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판제가 아주 변화무쌍하고 역동적이에요. 저절로 어깨가 들썩이고 함께 어울려 뛰고 싶은 충동이 생깁니다. 무더운 여름, 7월의 마지막 금요일 저녁에 대전무형문화재와 함께 옛선비의 풍류를 감상하는 한편, 서민들의 신나는 가락 속으로 빠져드는 시간 가져보세요.  이후 8월부터 11월까지 매월 공연일시와 장소, 공연 종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18 대전광역시 5개구 지역민과 함께 하는  "우리지역 무형문화재" 2018. 7. 27.(금) - 11. 28.(수) 관람문의 : 042.632.8387  (대전무형문화재전수회관)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살풀이춤, 판소리 춘향가, 매사냥, 앉은굿 사지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들말두레소리, 승무, 입춤, 판소리고법     2018 대전광역시 소셜미디어기자 조강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