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SYNC

Category
아이템: 
포스트 갯수3

리눅스 rsync의 -r 옵션에서 원본 디렉토리 지정에 주의할 점("/" 사용)

By 반달가면 | 2019년 6월 28일 | 
우선 rsync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이전 게시물을 참고하자. 여기로 그 외에 rsync 관련 다른 이전 게시물(자동 원격 백업, 또는 cp로 복사하다가 중단한 경우 rsync로 재개)에서도 공통적으로 유의해야 할 문제다. rsync에서 -r 옵션으로 디렉토리 구조 전체를 복사(백업)할 때, 복사할 원본 디렉토리(source directory) 뒤에 슬래시(/)를 붙이느냐 마느냐에 따라 동작이 달라진다. 목적지 디렉토리(target directory)는 슬래시 여부가 별 상관이 없다. 예시를 가지고 생각해 보자. ~/my_data 디렉토리를 ~/backup 디렉토리로 옮기는 상황을 생각해 보자. ~/my_data 디렉토리 하위에는 data.txt 파일 하나가 있다고 가정한다. 원본 디렉토리

리눅스에서 cp 명령으로 복사를 하다가 중단한 것을 나중에 재개하는 문제

By 반달가면 | 2019년 3월 12일 | 
cp 명령으로 복잡한 디렉토리 구조의 엄청 많은 파일을 복사하던 중에 시간이 없어서 중단하고 내일 다시 이어서 복사를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졌을 경우에 대한 내용이다. 가끔 이런 일이 벌어지는 관계로 작업 절차를 정리해 두기로. # ~/src 디렉토리의 내용 전체를 ~/backup 디렉토리로 복사 cp -r ~/src ~/backup 예를 들어 ~/src 디렉토리를 ~/backup 디렉토리 하위에 복사를 하고 있던 중에 ctrl-c 눌러서 중단을 했는데, 이미 복사된 것들을 다 지우고 다시 처음부터 복사하자니 그동안 들인 시간이 아깝다. 문제는 파일이 워낙 많다 보니, 대체 어느 파일을 복사하다가 중간에 끊어졌느냐를 찾아야 한다는 점. find 명령을 이용해서 ~/backup 하위에서

[리눅스][유틸리티] rsync: 서버간 파일 복사

By Guillermo Austin Kim | 2019년 1월 9일 | 
리눅스 서버 간 대용량 파일을 복사 받고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이럴 때 다음 명령어를 쓰면 됩니다. 제 계정이 bret.hart, 복사하고 싶은 리눅스 서버 계정이 hulk.hogan이라고 가정하겠습니다.여기서 hulk.hogan 계정 아이피 주소가 10.123.123.12:입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 명령어를 입력하는 서버가 bret.hart 서버 터미널이란 점입니다. rsync -azuv -e ssh [email protected]:/home001/hulk.hogan/*/home001/bret.hart/ 위 명령어를 입력하면 10.123.123.12 IP 주소 리눅스 서버에 있는 hulk.hogan 서버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뜹니다.이 때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