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rc

영화 '케빈에 대하여'

By  | 2014년 2월 9일 | 
영화 '케빈에 대하여'
1. 엄마가 된다는것의 무게를 잔혹하고 냉정하게 그려낸 영화. 소름끼치도록 잘 만들어진 영화. 2. 빨간색의 의미 영화 초반부의 토마토 축제의 빨강은 정렬적이고 젊음이 있고 또한 자유로움을 상징한다. 그 속에서 행복해 하던 주인공의 표정변화는이영화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함축하고 있다. 집에 퍼부어진 빨간 페인트는 케빈의 존재를 받아들이지 못한 그녀의 죄에 대한 벌이다. 영화 내내 그 페인트를 지워가지만 결코 지워지지 않는다. 페인트를 지워간다는 의미는 점점 케빈의 존재를 받아들이고 책임진다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빨간색은 이 영화를 이해하는데 굉장히 중요한 요소이다. 시간의 흐름이 과거와 현재를 오고 가지만 결코 빨간색은 사라지지 않는다. 그러나 담담히 엄마의 무게를 감당하는 주인공의 심리적인 변

인사이드 르윈 리뷰 - '평범하다. 비참하다. 그러나 꿈꾼다. 그것이 삶이다'

By  | 2014년 2월 10일 | 
인사이드 르윈 리뷰 - '평범하다. 비참하다. 그러나 꿈꾼다. 그것이 삶이다'
1. 고양이 이 영화에서 고양이의 존재감은 감히 영화 <다크나이트>의 조커와 비견할만 하다. 그만큼 고양이의 존재의 유무에 따라 영화의 분위기가 달라진다. 고양이는 총 세마리가 등장한다. 편의상 1번, 2번, 3번 으로 표기하려한다. 크게 보면 1번의 존재에서 주인공은 기존의 삶의 가치관을 유지한다. 1번의 부재에서 2번의 등장까지 주인공을 흔들어 놓는 몇가지 것들이 있다. 2번의 등장과 함께 이틀간의 여정. 그것을 버리고 가면서 기존의 삶을 내려놓으면서 담담해지는 주인공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모든 일이 풀리지 않고 이제 막바지를 향해갈 때 등장한 마지막 고양이는 그가 인생을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서 받아들인다는 듀엣의 죽음, 그리고 자신이 고수해온 음악을 받아들이고 그저

어바웃 타임(about time) 리뷰 - 사랑, 인생 그리고 시간

By  | 2014년 2월 10일 | 
어바웃 타임(about time) 리뷰 - 사랑, 인생 그리고 시간
아주 오래전 부터 시간은 사람의 큰 관심사였다. 미래 또는 과거로의 시간여행은 흔하디 흔한 소재 중 하나이다. 시간에 관한 영화를 들자면 수도 없이 나열할 수 있을 지경이다. 2013년 의 끝자락에 나온 <어바웃 타임>은 과거로의 시간여행이 가능한 주인공의 이야기이다. 인간은 왜 시간에 대해 끊임없이 관심을 가지고 그 의미를 되새겨 보려고 하는가? 인간은 유한하다. 이 유한함은 대표적으로 시간과 공간에서 온다. 사람이라면 반드시 시간과 공간의 제약 속에서 살아갈 수 밖에없다. 이런 제약 속에 살지 않는 존재는 신이 유일하다.(만약에 신이 있다면 말이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은 누구에게나 평등하다. 남보다 빠르거나 느리게 살 수 없고 더 많은 시간을 가질 수 없다. 또한 한국에 있는 내가

올 해 설레는 기대작 '루시'

By  | 2014년 4월 3일 | 
올 해 설레는 기대작 '루시'
드디어 내가 가장 좋아하는 배우 '최민식'이 헐리우드 영화에 나온다. 예고편만 보아도 설렌다.내용은 그렇게 기대되지 않지만 최민식이라는 배우가 보여줄 수 있는 스펙트럼 중 가장 빛이 나는 연기를헐리우드 영화에서 하는 것 같아 기대가 된다. 혹자는 개리 올드만과 유사하다고 하지만 최민식은 최민식일 뿐이다.물론 개리 올드만은 최고의 배우임에 틀림 없지만 최민식과의 비교는 아이덴티티가 다르기때문에 무의미하다.그의 광기어린 연기를 볼 수 있을것 같은 기대감에 벌써 개봉일만을 기다린다.많은 장면은 아니겠지만 씬스틸러가 될 것이라고 자신있게 주장한다.

영화 '변호인' 리뷰 - 정의, 국가, 국민에 관한 이야기

By  | 2014년 2월 14일 | 
영화 '변호인' 리뷰 - 정의, 국가, 국민에 관한 이야기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는 정치적인 문제로 제작에서부터 상영까지 잡음이 많았다. 그러나 이 영화는 우리의 부끄러운 과거사에 대한 증언일뿐 어디에도 정치적인 내용은 존재하지 않았다. 1. 이 영화는 실화를 바탕으로 했지만 우리 사회에 던져주는 메시지가 많다. 그 핵심은 자본주의의 달콤한 유혹에 빠져 돈이 우선시 되고 정의가 사라진 현대 사회에 일침을 놓는 것이었다. 송강호는 학벌의 컴플렉스를 돈을 많이 버는 것을 통해 극복하려 했다. 그럼으로 해서 부는 얻었지만 사회의 부조리에 대해서는 눈을 감은채 살았다. 이 부분은 지금 우리나라의 모습과 닮아있다. 현재 우리의 최우선시 되는 가치는 돈이다. 돈만 있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는 세상이다. 그리고 돈을 벌기 위해서는 어떤 수단과 방법도 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