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에 느끼는 점.

By  | 2013년 4월 5일 | 
한국 게임사들은 이제 좆망할 때가 되지 않았나 싶음... 직접 해 본건 거의 없고 들은 것만으로 얘기하자니 좀 그렇지만...엔씨든 넥슨이든 장기적인 비전이 없고, 지금 있는 걸로 어떻게든 한국에서는 뽑아내고 중국에 팔 생각만 하는 듯...예전에 양키 센스라고 비웃으며 일본 게임이 세계 최고! 하다가 북미/유럽에서 순식간에 게임 콘텐츠를 흡수 발전시키고꾸준히 쌓아올린 기술력으로 다 쳐발랐던 거 생각하면...지금 한국 게임은 법에 아슬아슬하게 걸리지 않게 벗기는 기술 밖다고 봄 -_-;온라인 게임은 그래도 잘 만든다고 하지만, 뭐 내세울 만한 게 있나? 모바일 쪽도 퍼즈도라 하다 보니 일본 애들이 정말 잘 만들 가능성이 보임.왜냐? 한정된 자원으로 개발해야 되니 PC/콘솔 같은 미친 기술력이 필요하진 않지만

일본과 아마도 북미 애니의 차이?

By  | 2013년 5월 17일 | 
외국인이 싫어하는 애니 설정 10「몸 주변에 여자가 너무 많아!」「주인공이 너무 부끄럼쟁이」「OP곡에서 달린다」 1. 주인공한테 부모님이 없는 확률이 굉장하다 2. 얼마나 먹는거냐! 3. 여자, 여자, 여자, 주위에 여자가 너무 많아! 4. 주인공이 너무 부끄러워한다 5. 넘어진다 → 여자애의 가슴 위에 다이브한다는 법칙 6. 전차 안의 치한 7. 츤데레는 필수!!8. 소년이 세계를 구한다 9. 제 6~8화 근처에 온청 장면이 들어간다. 10. 오프닝 곡에서 반드시 달린다 외국(아마도 북미)와 일본의 문화차이나 애니에 대한 관점 차이가 아닐까 싶은데...무엇보다 주소비층의 차이도 있구요. 일반적인 북미의 애니 - 디즈니, 픽사 등 - 은 아이들이 나는 커서 저런 사람이 되겠어! 라는

게임 중독?

By  | 2013년 6월 4일 | 
게임 중독?
아....부럽다(....) 할 일 다 해놓고 놀긴 하는건데...대충 계산해 봐도 하루 8시간... 짧게 잡으면 6시간 정도 게임 하는 걸로 보이는데,저게 중독인가 아닌가... 10시~오후4시 - 집안일 빼면 2~4시간4시~7시 반 - 1~2시간8시~12시 - 3~4시간가끔 밤샘주말에는 하루 종일 음... 저거 게임이 아니라 도박/술/낚시/자전거/운동 등등으로 바꿔보면...아무리 생각해도 저 정도면 문제 있는 것 같습니다;일과 수면 시간 외 가끔 수면 시간도남은 시간을 전부 게임에 쏟아붇고 있고, 못하게 하면 감정적으로 동요까지 오는 상황인데... 게임 중독 규정에 대한 반발인가... 물론 저도 여성부의 삽질이런 규정들이 잘못 됐다고 생각합니다만...그래도 게임에 대한 기준이 좀 관대한 듯 하네요.

우리나라도 미소녀 게임 많이 만들었지 않나?

By  | 2013년 7월 6일 | 
아뇨 시뻘건 레드 오션 입니다.인벤 기사 아이온리니지2블레이드 앤 소울 등등... 여자들이 배구?족구? 하는 게임도 있었던 것 같은데거기에 몇몇 게임은 아이돌들을 캐릭터로 앞세우기도 했죠.이것도 미소녀 게임 요소를 넣는 거라고 생각해도 될 것 같네요. 그런데, 세계적으로 인기를 끈 게임들을 보면... LOL와우월오탱배필엘더스크롤 음... 딱히 미소녀는 안 보이네요. 기사에서도 러브 플러스를 예로 든 걸로 봐서 딱히 스마트폰 게임에 한정한 것 같지는 않은데...스마트폰 게임도 초대박을 친 앵그리 버드나 플랜트 vs 좀비 같은 거 생각해 보면... 마니아층, 일명 오덕계층을 공략하는 건 맞습니다.부분 유료화 게임들의 경우 매출의 90%를 상위 10%의 게이머가 소비한다고들 하죠.근데 게임덕후들이

직장 동료들과 엑박 이야기 나온 거...

By  | 2013년 6월 12일 | 
40세 전후의 하드코어 게이머 아저씨들 (캐나다인) * DRM? 그게 뭐? 1. 난 게임 팔지도 않고 중고 안 사고 내 엑박은 24시간 인터넷에 연결 ㅋㅋ 2. (북미)게이머 평균 연령이 25세임. 그냥 사면 되지. 3. 게임스탑 이 기생충 같은 색휘들ㅋㅋㅋㅋ꼬시닼ㅋㅋㅋㅋㅋ * 키넥트 1. 그거 좋잖아. 2. 게임이 이 쪽으로 가면 어차피 사야 될 거... 라는 느낌 * 라이브 TV 1. 언급이 없음; 다들 넷플렉스나 애플TV 같은 게 있어서 그런가? -_-; * 마소 정책 1. 개발자 입장에서 패치나 업데이트 등이 개같음. 이건 문제임. 스팀에 이미 익숙해서 그런가... 암튼 이런 얘기가 오고 갔습니다.오프에서 포장/메뉴얼/기타 포함한 거랑 온라인에서 사는 거나 가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