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의 플래티넘을 전달하자

피곤해서 올려보는 운동 루틴

By  | 2017년 9월 9일 | 
피곤해서 올려보는 운동 루틴
운동가기 전에 생각나서 올려봅니다. 월수금: 인터벌 러닝 35~40분 (소모 칼로리: 평균 250~300 kcal)풀업 첫 세트만 실패지점까지 첫 세트 현재 4개, 총 12개 3세트푸쉬업 첫 세트만 실패지점까지, 완전정석으로 첫 세트 현재 25개, 총 60개(컨디션 최하) ~ 100개(컨디션 최상)딥스 첫 세트만 실패지점까지, 첫 세트 현재 13개, 총 3세트 중 나머지 2세트는 8개씩싯업 2분안에 60개바벨 로우 - 50kg 5 x 5 프로그램예이츠 로우 - 20~30kg 5 x 5 프로그램 화목:인터벌 러닝 35~40분 (소모 칼로리: 평균 250~300 kcal)무중량 허리 운동 15개씩 4세트양 사이드 복근 및 코어운동(어퍼컷, 훅 훈련) 10개씩 4세트 이상전거근 훈련(스트레

폴아웃4 안녕~

By  | 2017년 11월 19일 | 
지겨워졌으니 접는다. 끝.

내가 경험한 인공지능 2편.

By  | 2017년 11월 19일 | 
내가 경험한 인공지능 2편.
최근 몸이 좋지 않은 관계로 주말에 아무것도 안 하고 방에서 누워있으니 심심한 차에 밀린 글을 쓰려고 한다. 내가 처음 인공지능에 대해 알게 된 것은 2014년에 한국과학기술원 대학원에 입학한 때였다. 카이스트에 인공지능을 다루는 과는 여럿 있는데 그 중 어떤 과에 들어가던 간에 대학원 수업을 찾다 보면 결국 비슷한 수업에서 만나기 마련이다. 물론 나는 순수 인공지능 개론보다는 데이터 분석과 기계학습 관점에서 인공지능을 얇게 다루는 수업을 들었기 때문에 전자과의 모 수업처럼 하드코어하게 인공신경망 공부를 하진 않았다. 데이터 분석을 전공하려는 사람의 커리큘럼 특성 상 결국 비슷한 이야기들, 비슷한 내용들을 여러 수업에서 만날 수 밖에 없는데, 이는 주로 기본

내가 경험한 인공지능, 1편.

By  | 2017년 9월 14일 | 
내가 경험한 인공지능, 1편.
약간 긴 글이 될 것 같다. 학계에서 인공지능을 '인공지능'이라고 부르는 데 큰 이견은 없다. 그런데 내가 경험한 바, 인공지능은 우리가 생각하는 터미네이터와 같은 똑똑한 인공지능은 절대 아니다. 인공지능은 인간의 어떤 문제를 더 빠르고, 더 정확하게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특수한 계산기이다. 쉽게 말하면, 그냥 프로그램이다. 아직까지는 그렇다. 컴퓨터의 장점은 계산 속도와 저장 용량, 그리고 쉽게 정보를 복사하는 것이 가능한 점이다. 이 3가지를 이용해 인간이 못 푸는 수학 문제를 그냥 풀게 하는 것이 인공지능이다. 소위 인공지능이라고 불리는 이 프로그램은 메모리 혹은 디스크에 사람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단순한 정보부터 시작해서사람이 이해할 수 없는 내용, 형태를 띤 정보까지 저장

Problems in a row

By  | 2017년 9월 18일 | 
Problems in a row
요즘 들어 노트북이 점점 맛이 가려고 한다. 장비는 꼭 돈이 없을 때 고장 나고 질병은 가난한 자에게 찾아온다. 억울하면 좋은 직업 좋은 학교 좋은 부모 있어야 된다. I hate this fucking wasteland 유일하게 신뢰할 수 있던 구글마저도 요즘 부쩍 상태가 안 좋다. 하마트면 중요한 일감 자료를 날릴 뻔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