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글도

Category
아이템: 
포스트 갯수7

고전검술훈련 20190804 머쉐티~

멤버들의 스파링 능력이 점점 진화하고, 다양한 선수들의 스타일도 테스트해보고들 있습니다. 더스틴 리건의 스타일을 모방하기도 하고 베기 자체를 속도 조절해서 페이크를 주면서 몸의 스냅을 통해 가속과 위력을 보충하는 신법을 쓰기도 합니다. 한편 새로 산 트라몬티나 머쉐티를 투입해 보았습니다. 스뎅보다는 탄소강이 튼튼하고 내구성이 좋긴 하네요. 정글도는 나름의 사용법이 확실히 확립되었고, 손방어 문제도 거의 해결한 상황입니다. 물론 손이 노출된 한계가 있어서 100%는 아니긴 한데, 방어를 잘 하면 정신차리고 있을 때 어이없이 맞고 지나가는 일은 없습니다. 제 기법은 당연히 세이버 검술 기반이고 기본 5가지 패리에 퀸트 식스트 셉팀 옥타브를 추가한 것인데 크게 들어 몸을 막는 기법과는

14인치 짧은 칼날 정글도로 스파링 실험

칼날 앞쪽을 잡아 14인치 정도 길이의 칼날을 가진 짧은 정글도를 상정하고 대련을 해봤습니다. 특징은 왼손의 역할이 극도로 커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권법이나 전통권의 경력이 있는 사람이 왼손을 잘 사용합니다. 아무리 칼만 가지고 싸우려고 해도 이미 접근한 상황에서 간격이 너무 짧아 상대방이 왼손으로 체킹하기 쉬우며, 한번 잡히면 너무 빨라서 순식간에 당하게 됩니다. 결국은 왼손을 잘 사용하는 법을 익히는 수밖에 없습니다. 인도네시아의 펜칵 실랏과 같은 무술이 이러한 상황과 도구를 쓸 때의 노하우가 매우 뛰어나다고 봅니다. 17인치 이상의 정글도는 좀 위험하긴 해도 충분히 검만 가지고 싸울 수 있는 반면, 14인치 정도의 짧은 칼들은 왼손의 활용이 빠르고 활발하며 정교하지 못하면 승리하기 어렵

길이에 따라 달라지는 짧고 가드가 없는 칼의 검리

여러모로 테스트해본 결과, 실랏의 방식도 맞고 근대식도 맞고 왼손 활용하는 것도 다 쓸모가 있었다. 그런데 칼의 크기에 따라서 싸움의 전개의 열쇠가 달라진다. 17인치 이상의 칼날을 가진 정글도라면 실랏에서처럼 상대방의 팔이나 손을 잡거나 쳐내면서 들어가기에는 아주 위험부담이 따르고, 반드시 상대의 칼날을 내 칼로 막아내면서 순간적인 틈을 만들고 그때 진입을 해도 해야 한다. 물론 대형 도검에 비해 칼이 빠르기 때문에 그냥 막 들어가면 안되고, 결국은 개인의 단련과 센스 그리고 스킬에 달려 있었다. 그리고 상대방의 성향에 따르기도 한다. 통상 TFW같은 데서 만드는 고증 거친 필리핀칼이 날길이 19.5인치 정도니까, 내 17.5인치 정글마스터 마체트보다도 안정적으로 싸울 수 있다는 것. 결국 근대검술도

정글도 스파링 실험, 공방이 된다!

정글도 스파링 실험, 공방이 된다!
짧고 가드가 없는 칼은 어찌 쓰나? 짧고 가드가 없는 칼의 검리 실험 이런 글들을 통해 미지의 영역인 짧고 가드가 없는 도검들에 대해 알아봤었는데, 단순히 도구일 뿐이다 혹은 원래 이런걸로 싸우는 게 아니다 라고 결론내리기에는 이런 타입의 도검들이 작업뿐만 아니라 전쟁, 호신에서도 다양하게 쓰였고, 심지어는 이런 도검이 아주 좋다고 찬양하는 내용도 심심찮게 나왔습니다. 가령 중동에선 필리핀칼이나 마체트처럼 중간 사이즈에, 가드가 없는 도검이 바로 킨잘인데, 이슬람 문헌에 따르면 그냥 다 좋다고 합니다. 14세기의 "무함마드 이븐 이사 알 하나피 알 아크사라이"가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최고 맘루크 전사와 함께 펴낸 "후루시야(기마 전투술)에 대한 완전 교범"에 따르면 질문: 병사가 어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