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의진법

Category
아이템: 신의진법(3)
포스트 갯수3

'4대 중독법은 숙원사업' 중독정신의학회 속내 '들통'

By ProfJang의 글과 이야기가 있는 곳 | 2013년 11월 21일 | 
관련기사...........이쯤되면 뭐라 할말이 없어집니다.후아... ps 게임의 중독에 대해선 위험도가 있다 없다 논쟁이 문제가 아니라 이 정도면 개인적인 의견의 찬성하는 블로거는그렇다 해도 지금 찬성 패널의 진정성이 떨어진것이 아닐까 싶네요 ps2 공동대책위는 우선 가장 필요한건 이런 문제도 캐치하는게 좋지만 가장 객관적인 수치(실제 중독사례나 범죄사례가 적다는 통계)를 수집하는게 이득이라 보입니다. 물론 협회도 이에 가담해야 한다고 보입니다.

잠깐 하루종일 일좀 하고 한잔 마시고 왔더니.

By ProfJang의 글과 이야기가 있는 곳 | 2013년 11월 8일 | 
지금 중독이 전혀 없다. 라고 말할수도 없고. 그렇다고 지금 게임 중독법 관련 공청회와 이번 라이엇 게임 국감내용에서 언급된 내용을 얼마나 신뢰성이 있는지도 알수가 없습니다. 소위 말하는 통계라고 불리우는 수치가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정확한 수치를 취합할수 없습니다. 도박의 경우 가정파탄 그리고 자금적인 파탄에 이르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중독 치료를 하는 상황이죠, 다만 지금 현재의 일반적인 콘솔, PC게임의 중독성 여부를 뭘로 채크해야 하는지 누구도 아무 답을 해주지 않습니다(...) 국감이던 신의진법 발의 내용을 아무리 뒤져봐도 중독치료에 대한 기준도 없는 상황에서 게임중독자가 졸라 많으니 게임재단에 기부 왜 안하냐는 것을 보면 잿밥에 더 관심이 있어 보이던데요? 업계 쉴드는 하고 싶지 않지만 게임뇌던

지금 게임협회가 해야할건 단순하게 서명운동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By ProfJang의 글과 이야기가 있는 곳 | 2013년 11월 5일 | 
지금 협회 사이트는 올해 게임대상으로 인해 뻗었는데 이번 중독법안 관련으로 서명한 인원이 10만명이 넘었습니다. 한주도 안돼 10만이란 수치는 짧은 시간 많이 이룩한 수치입니다. 뭐 협회에서도 이 결과를 가지고 국회에 전달한다고 하니 나쁜 취지는 아닙니다만. 개인적으로 과연 이 행동으로 법안 자체를 막을수 있을까? 라는 의문엔 고개를 갸우뚱 하게 됩니다. 셧다운제도 게임 업계는 감정에 호소했고, 신의진법 , 손인춘법 발의 그리고 황우여 대표의 발언까지 이어질때까지 게임업계와 협회는 준비한게 무엇이었나 고민이 됩니다. 이번 공청회의 진행과정을 보면 딱 답이 나옵니다. 찬성측은 말이 되던 안돼던 간에 관련 사료를 엄청나게 모아놨습니다. 넵 반대 측면에서는 저건 말도 안됀다. 라는 자료가 별로 없거나 혹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