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키

걍 질러본다. 한국이 솔직히 이길 거 같다.

By  | 2014년 6월 17일 | 
개인적으로 나에게는 최악의 국대다. 이번 팀은.감독은 원칙을 어긴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았으며 팀원 중 일부는 감독의 신뢰와 국가대표로서의 지위를 당연한 것으로 여기기에 경쟁을 통한 선발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따라서 평가전도 완전히 바보같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전은 이길 것으로 본다. 아니 질 것 같지 않다. 이유는 단 하나다.브라질의 날씨가 워낙 지랄맞다. 덥고 습한 기후는 굉장히 사람을 피로하게 만든다.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체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다. 그리고 한국 선수들은 한국의 여름 때문에 이 기후에 상당히 익숙하다. (브라질 사람만큼은 아니지만) 날이 따뜻한 것과 다르다. 더우고 습하다. 축축하고 만사 귀찮아지고 낮잠이나 자고 싶은 기후다. 한국은 94년 월드컵 때 스페

롤챔스 스프링과 메타

By  | 2014년 5월 25일 | 
이번 롤챔스 스프링은 삼성 블루의 승리로 돌아갔다.이번 롤챔스 스프링은 여러모로 꿀잼이었는데, 전력 상향평준화로 인한 비등비등한 대전들의 연속과 그 가운데 이변들그리고 무엇보다 나같은 분석쟁이에게는 메타의 변화가 정말 큰 재미를 주었다. 그 메타의 변화를 살펴보자. 1.16강전에서 나타난 스왑 메타와 불도저 메타롤의 메타는 EU메타(한타지향형의 메타로 1탱커, 1AP, 1AD, 1서폿, 1정글을 배치하고 초반에 약한 AD에게 서폿을 붙여서 용싸움에 유리한 바텀으로 보냄으로써 탑에 탱커 미드에 AP 바텀에 AD와 서폿 정글에 정글러를 배치하는 메타로 롤드컵 시즌1때 프나틱으로 인해 시작되었다.)가 기본이다. 이 메타는 한타지향형이면서 운영이 되며 대응이 힘들다는 점에서 이후 모든 메타는 EU메타의 변형이다.

롤- 조합의 묘미

By  | 2014년 6월 21일 | 
롤- 조합의 묘미 2014스프링 때부터 현재 2014섬머까지 잘나왔고, 좋았던 조합들을 한번 짚어본다. 1.쉬바나-룰루탑 쉬바나와 미드 룰루의 시너지가 상당히 좋았다. 쉬바나는 일반적인 딜탱보다 적은 돈으로도 딜과 탱을 모두 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돌진 이니시가 가능해서 탑솔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는 챔피언이다. 쉬바나가 돌진해서 들어갔을때 2차 cc로 룰루의 급성장을 하게 되면 쉬바나에 물린 적들은 슬로우까지 묻어나게 된다. 쉬바나가 란두인을 쓴다면 쉬바나에 물린 적들은 그야말로 끔찍한 쉬바나의 딜을 뿌리칠 수 없게 되었다. 때문에 쉬바나-룰루는 한타지향형 좋은 픽으로 각광받았다. 2.야스오-트위치둘 사이의 스킬 연계는 없으나 이 조합이 좋은 이유는 두 챔프가 무지막지한 한타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롤챔스 단상- 프로스트, 블레이즈, 크트비의 몰락

By  | 2014년 7월 6일 | 
#1. 프로스트사실 몰락이라고 하기에 프로스트는 애매한 면이 있다. 예전에 초식형 정글러인 클템, cs보다는 로밍에 특화된 빠른별로 인해서 초반 라인전에서는 고난을 겪지만소수교전에서의 빠른별, 한타에서의 매라, 클템의 운영, 그리고 그것을 받쳐주는 샤이까지 드라마틱한 한타 승부를 통해 극복하는 것이 프로스트였다. 그리고 클템과 빠른별이 은퇴하고 제닉스 스톰의 미드정글인 스위프트와 코코가 들어오면서 팀 색깔이 달라졌다.초반 갱킹이 좋고 육식형 정글러인 스위프트. 로밍은 몰라도 라인전에서 항상 5:5이상 가져가는 코코로 인해서 초반에 그렇게 밀리지 않는 팀으로 거듭났다. 여기까지만 보면 정말 성공적인 리빌딩이다. 왜냐하면 초반 라인전의 중요성, 미드의 중요성은 SKK의 집권 이후로 확실하게 성립한 공식이었기

[예상] 롤드컵 선발전, SKTK의 승리를 점친다.

By  | 2014년 8월 29일 | 
#. 사실 나진 쉴드가 KTA를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 이유는 KTA의 원딜러 애로우가 예전의 건웅시절의 프로스트처럼 다른 팀보다 실력이 낮은 원딜을 데리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파는 애로우보다 항상 좋은 모습을 보여줘서 섬머시즌 우승팀인 KTA를 3:0으로 보내버렸다. #. 그리고, 다시한번 역배당을 하고자 한다. 거의 모든 사람이 나진쉴드를 밀 때 나는 SKK를 밀겠다. 사실 가장 큰 이유는 삘이다. 승부는 예측할 수 없고 맞는 분석은 운이 좋아야한다. 그리고 그냥 일반적으로는 당연히 쉴드 승리를 점치기 쉽지만 나는 SKK를 민다. 내 삘의 근거를 대자면 다음과 같다. 1.페이커가 연속해서 망하는 경우는 본 적이 없다.페이커가 망한 경기는 생각보다는 찾기 쉽다.(특히 삼성 화이트와의 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