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적지

Category
아이템: 
포스트 갯수10

콜로라도 메사버디(Mesa Verde) 국립공원의 파크포인트(Park Point) 전망대와 다시 만난 절벽 유적지

By 위기주부의 미국 여행과 생활 V2 | 2022년 7월 3일 | 
반응형

2차 대륙횡단 이사의 5일째는 마침내 미대륙의 등뼈인 록키 산맥을 품고있는 콜로라도(Colorado) 주로 들어가는 날이었다. 전날 유타 주까지는 2009년의 30일 자동차 캠핑여행의 경로와 겹쳤다면, 이 날은 그 다음해인 2010년 추수감사절에 떠났던 '그랜드서클(Grand Circle)' 3박4일 여행의 발자취를 조금 따라갔었다. (그랜드캐년이 아니고 그랜드서클이 무엇을 말하는지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클릭해서 당시 여행계획 포스팅의 설명을 보시기 바람)

숙박했던 유타 몬티첼로(Monticello)에서 491번 국도를 따라 동쪽으로 조금 달리면 나오는 환영간판의 사진을 인터넷에서 가져왔다. 콜로라도는 2018년에 덴버까지 비행기로 가서 록키마운틴 국립공원 등을 구경한 적이 있으니까, 위기주부는 이 날이 세번째로 콜로라도 주를 밟아보는 것이었다.

도중에 준국립공원급인 Canyons of Ancients National Monument가 나오지만, 아침도 안 먹은데다가 국립공원청이 아니라 국토관리국 소속이라서 그냥 건너뛰었다. 코르테즈(Cortez) 맥도널드에서 늦은 아침메뉴를 먹고는 160번 국도로 갈아타니, 멀리 눈 덮힌 산맥이 보이고 조금만 더 가면 '방앗간'이 나온다.

방앗간 간판 옆에 포즈를 취한 참새~^^ 2010년 그랜드서클 여행에서 충분히 구경을 했었고, 지금은 모든 투어도 중단된 상태라서 그냥 건너뛸까도 했지만... 그래도 참새가 방앗간을 그냥 지날 수는 없다는 생각에, 메사버디 국립공원(Mesa Verde National Park)을 잠시만 들렀다 가기로 했다.

공원입구 옆에 있는 이 커다란 Mesa Verde Visitor And Research Center는 2012년에 만들어져서 옛날에는 못 가봤던 곳이라서 잠시 방문을 해봤다. 하지만 당시에는 실내 전시실도 폐쇄된 상태라서 바깥만 구경을 했었는데, 왼쪽에 보이는 뾰족한 조각은 마지막에 다시 자세히 보여드릴 예정이다.

최대한 이전 방문에서는 빠트렸던 곳을 둘러보자는 생각에 유적지로 들어가는 도로 중간에 있는 파크포인트(Park Point)에 올라와봤다. (구글맵으로 위치를 보시려면 클릭) 산불감시 초소가 있는 이 정상은 해발 8,572피트(2,613 m)로 국립공원 안에서는 가장 높은 봉우리이고, 남북으로 두 개의 전망대가 잘 만들어져 있다.

먼저 남쪽 전망대에서 설치된 망원경으로 멀리 남서쪽으로 관측을 하고 계시는 농부모자를 쓴 사모님 모습이다.

안내판의 조감도를 보면 저 너머가 콜로라도, 유타, 뉴멕시코, 아리조나 4개의 주가 만나는 곳이라 되어있다. (그랜드서클 여행에서 직접 방문했던 포코너(Four Corners)와 그 너머의 모뉴먼트밸리(Monument Valley)는 각각을 클릭해서 여행기를 보실 수 있음) 그러나, 지금 서있는 높이에서는 언덕에 가려서 조감도와 같이 모두 볼 수는 없었지만, 여기서 45마일 떨어졌다고 되어있는 안내판 왼쪽 작은 사진 속의 뉴멕시코 주 쉽락(Shiprock) 바위는...

핸드폰 줌으로 찍어보니 흐릿하게 그 범선의 윤곽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중에 오프로드 차를 몰고 '고향'으로 다시 돌아오게 되면, 저 쉽락을 지나서 파밍턴(Farmington) 지역의 황무지들을 포함해 가보지 못한 뉴멕시코 북부 지역도 꼭 둘러봐야 하겠다.

이번에는 북쪽 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북동쪽을 주시하고 있는 위기주부의 모습으로 사이좋게 한 번씩 모델 출연~^^

오는 도로에서 보였던 설산들은 록키의 곁가지인 라플라타 산맥(La Plata Mountains)으로, 제일 왼쪽에 보이는 최고봉인 헤스페루스(Hesperus) 산의 높이가 무려 4,035미터(13,237 ft)나 된다고 한다.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약간의 고소증이 온다는 느낌이 들면서, 다시 차를 몰고 공원본부가 있는 유적지로 향했다.

채핀메사(Chapin Mesa) 유적지에 도착했지만 박물관은 닫혀 있었고, 저기 움푹 파진 곳에 만들어진 절벽거주지(cliff dwelling)인 Spruce Tree House로 가는 길도 막아놓은 상태였다.

하지만 반갑게 멀리서 바라만 봐도 아쉬움이 없었던 이유는 2010년에 가이드투어로 저 인디언 유적지 내부를 구경을 했었기 때문인데, 여기를 클릭해서 당시 여행기를 보실 수가 있다.

커플사진 한 장 찍고는 유일하게 열려있는 도로였던 메사탑루프(Mesa Top Loop) 한바퀴만 돌아보고 나가기로 했다.

일방통행이라서 지난 번에는 그냥 지나쳤던 Pithouses and Villages라는 곳을 둘러보았는데, 이렇게 원주민들이 평지에 땅을 파서 만들었던 거주지를 지붕까지 잘 만들어서 보호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Sun Point View 전망대에서 망원경으로 제일 왼쪽의, 이 공원에서 가장 유명한 클리프팰리스(Cliff Palace)를 아내가 보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는 그 '절벽궁전'은 가장 멀고 또 나무에 가리는 대신에

그 오른편으로도 계속 줄줄이 만들어진 다른 거주지들을 볼 수가 있는 곳인데, 이렇게 2단으로 생긴 절벽의 홈을 이용해 집을 지은 곳도 있었다. "저 윗층은 자다가 굴러 떨어지겠는데?"

마지막으로 커다란 벽돌집이 지상에 만들어져 있는 선템플(Sun Temple)을 방문했다. 옛날 그 때처럼 이 날도 해발 2천미터가 훨씬 넘는 이 곳의 하늘은 정말 맑고 파랬다~

안내판에 항공사진을 보면 내부도 굉장히 복잡해 보이는데, 아쉽게도 저 분들이 서계신 곳에서 더 안으로 들어갈 수는 없다. 이 곳에 무슨 미스테리가 있는지 궁금하신 분은 사진을 클릭해서 원본보기로 직접 읽으실 수 있다.

여기 선템플 전망대에서 계곡 건너편 클리프팰리스의 모습이 이렇게 더 잘 보인다. 물론 Cliff Palace Loop 도로를 이용해 저 너머에 차를 세우고 더 가까이 보는 곳이 있지만, 이 때는 그 길이 보수공사로 폐쇄되어 있었다. (여기를 클릭해서 예전 여행기로 더 자세한 모습을 볼 수 있음) 이상으로 '방앗간' 구경을 마치고 나가면서, 화장실을 들리기 위해 앞서 소개한 입구의 리서치센터에 잠시 차를 세웠다.

이 조각은 절벽 위에서 채취한 농작물을 담은 바구니를 등에 메고, 바위를 타고 아래쪽의 집으로 돌아가는 원주민을 묘사한 것이었다. 그러고 보니 우리 부부는 보름 넘게 돌아갈 집도 없이 자동차 여행을 하고있는 셈이었고, 특히 지난 이틀 동안 유타 주에서는 트레일까지 하면서 너무 무리해서 돌아다녔다. 조금 전에 느꼈던 것은 고산증이 아니라 누적된 피로가 몰려온 것이라는 생각에, 이 날은 여기서 동쪽으로 한 시간도 걸리지 않는 관광도시 듀랑고(Durango)에 일찌감치 숙소를 잡고 쉬기로 해서, 2차 대륙횡단 5일째의 여행기는 이 한 편으로 끝이다.

 

 

 

아래 배너를 클릭해서 위기주부의 유튜브 구독하기를 눌러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서울 을지로 “환구단(圜丘壇)”

By 소인배(小人輩).com | 2021년 11월 4일 | 

서울 을지로 “환구단(圜丘壇)”

 

“환구단(圜丘壇)”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곳이다. 우리나라의 제천행사는 농경문화의 형성과 함께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삼국시대부터는 국가적인 제천의례로 시행된 것으로 믿어진다.

 

유교의 전차가 하늘인 상제와 오방제에게 바치는 제사를 지내는 제단으로, 환구는 예기에 기록된 천자가 행해야 할 천제(天祭)이다. 이 제사의 본단을 환구단(圜丘壇, 圓丘壇)이라고 부른다.

 

 

“서울 을지로의 환구단”

 

환구단은 중국의 황제가 유교의 예법에 따라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장소다. 중국의 역대 왕조들은 자국 이외의 국가들은 모두 오랑캐로 보며 오직 자국 군주만이 환구단을 짓고 하늘에 제사를 지낼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우리나라같이 유교를 수용하고 외왕내제의 성격을 가진 나라들은 모두 환구단을 짓고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일반적인 동양 전통건축물과 달리 환구단은 둥글거나 혹은 원에 가까운 팔각정 같은 형태를 한 경우가 많다. 이는 천원지방(天圓地方)이라고 해서, 동양에서는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지다는 관념이 있었기 때문에, 땅에 있는 일반적인 기와집 건물들은 사각형이 대부분이지만 이것은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건물이므로 둥글게 지은 것이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선 환구단은 원구단으로도 불린다. 圜이 '둥글 원', '돌 환' 두 가지 훈음으로 읽으면서 생긴 혼란이다. 원구단이라고도 이 항목에 들어올 수 있다.

 

 

“황궁우만 남은 환구단”

 

서울특별시 중구 소공동 웨스틴 조선호텔 앞에 대한제국 시절의 환구단 유적이 남아있다. 원래는 거대한 규모를 가진 대한제국의 성역(聖域)으로 지정되었던 곳이었으나 일제가 1913년에 호텔 신축을 이유로 철거하여 환구단 본단(本壇)은 없어지고, 대신 환구단의 상징물 격인 '황궁우(皇穹宇)'만 남았다.

 

“서울 을지로 환구단”

 

 

마카오 유적지 “세나도 광장”

By 소인배(小人輩).com | 2019년 4월 27일 | 
마카오 유적지 “세나도 광장”배틀트립 10회에서는 정준영, 이종현, 최태준 씨가 마카오를 여행하는 장면이 소개되었습니다. 배틀트립 마카오 여행의 둘째 날은 세나도 광장에서 시작했는데요. 이번에도 이들이 방문했던 곳을 한 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마카오에 있는 세나도 광장”세나도 광장은 과거 포르투갈 시절의 잔재가 그대로 남아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이 곳은 유럽 남부의 도시처럼 꾸며진 곳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특히 바닥에 깔린 타일은 모두 포르투갈에서 가져온 것이라고 하지요.그래서 어떻게 보면, 마카오 속의 작은 포르투갈 혹은 유럽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의사당을 의미하는 세나도 광장”세나도라는 단어는 포르투갈어로 “의사당”을 의미한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이 곳은 의사당 광장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이 곳이 “의사당 광장”이라고 쓰인 이유는 간단한데요. 바로 포르투갈 식민지 시절, 이 곳에 자치 의회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하지요.현재는 이 의사당 건물이 마카오 특별행정구역의 사무소인 “민정총서(民政總署, Instituto para os Assuntos Cívicos e Municipais)”로 사용되고 있다고 합니다.“세나도 광장 근처에 있는 유적들...”방송에서는 세나도 광장을 방문한 이후, 근처에 있는 유적들을 둘러보는 형태로 소개가 되었는데요. 가장 먼저 방문한 곳은 “성 도미니크 성당”이었습니다.“중국 최초의 성당, 성 도미니크 성당”성 도미니크 성당은 중국 최초의 성당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1587년 도미니크 수도회가 세운 건물로, 화려한 색감이 인상적인 건축물이라고 합니다.△ 배틀트립에서 소개된 세인트 폴 대성당“동양의 몽마르트라고 불리는 세인트 폴 대성당”다음으로 이동한 곳은 “동양의 몽마르트”라고 불리는 세인트 폴 대성당이었는데요. 세인트 폴 대성당은 16세기에 포르투갈에 의해서 건축된 성당입니다. 하지만, 1835년 화재로 인해서 건물 대부분이 불에 타서 없어졌고, 현재는 외벽 하나만 남아있다고 하지요.전면부 외벽만 남아있지만, 그래도 나름의 운치를 자아내는 곳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여기까지, 배틀트립에서 소개된 세나도 광장과 근처에 있는 유적들에 대해서 한 번 살펴보았습니다. 여행 준비에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중국, 마카오, 세나도 광장” 주소 : Largo do Senado, Macau특징 : 포르투갈 느낌이 나는 광장, 세인트 폴 대성당, 성 도미니크 성당배틀트립 마카오 지도 : https://theuranus.tistory.com/60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