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K

Category
아이템: AWK(23)
포스트 갯수23

[bash: awk] 특정 위치(field)의 문자열에서 특정 길이 만큼 문자열 추출

By 반달가면 | 2016년 12월 16일 | 
awk에서도 expr의 substr 옵션과 같은 기능을 하는 함수가 존재한다. 이름도 substr로 같다. (expr의 substr 옵션에 대한 내용은 이전 게시물을 참고하자. 여기로) substr 함수의 형식은 아래와 같다. 아래의 형식에서 문자열이 들어갈 자리에 $1, $2 등 위치(field) 변수를 지정해 주면 된다. substr("문자열",[시작 위치],[길이]) 간단한 예시를 보자. 문자열 "I'm a student"에서 세번째 단어(student)의 2번째 바이트부터 4바이트를 추출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이 될 것이다. substr 함수를 이용해서 3번째 단어의 2번째 바이트부터 4바이트를 추출하여 변수 result에 저장하고 print 명령으로 출력. echo "I'm a

[bash: awk] 작업 시작전, 완료후에 실행할 명령어 지정(BEGIN/END)

By 반달가면 | 2016년 11월 18일 | 
awk에서 텍스트 파일에 대한 작업을 시작하기 전, 또는 모든 작업이 끝난 후에 실행할 명령어를 지정해 줄 수 있다. 시작전을 나타내는 구문은 BEGIN, 끝난 후는 END로 지정한다. 아래의 예시를 보자. awk 'BEGIN { print "작업을 시작합니다." } ... END { print "작업을 완료했습니다." }' my_file.txt 굳이 이러한 구문이 필요할까 싶을 수도 있겠지만 의외로 요긴하다. 특정 디렉토리에서 특정 파일의 용량 합계를 awk를 이용해서 계산하는 방법을 다룬 이전 게시물을 보면 END 구문이 마지막 결과 출력에 활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awk 활용에 대한 다른 게시물들은 여기로

[bash: awk] 조건에 따른 문자열 작업

By 반달가면 | 2016년 11월 16일 | 
awk 구문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는 아래와 같다. awk '/패턴/ {명령어}' 파일명 텍스트 파일을 한 행씩 읽으면서 일치하는 패턴(문자열)이 보이면 이에 상응하는 명령어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my_file.txt 파일에서 "abc" 문자열이 있으면 행 전체($0)를 출력하고 "def" 문자열이 있으면 "___" 문자열을 출력한다면 아래와 같이 될 것이다. awk '/abc/ { print $0 } /def/ { print "___" }' my_file.txt 위의 예시에서 만약 한 행에 "abc"와 "def"가 둘 다 있다면 행 전체도 출력되고 "___" 문자열도 출력된다. if/else 조건문을 사용해서 조건에 따라 출력을 지정해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