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SIBLE

Category
아이템: ANS(7)
포스트 갯수7

[ansible] 윈도우 접속에서 창으로 떠서 돌아가야 하는 앱에 대한 고찰

By 지훈현서 | 2018년 12월 20일 | 
지난번에 윈도우10에 ansible 대상 장치로 붙여 관리하는 것을 살펴보았습니다. 좀 더 작업을 하다보니, 이상한 현상이 발생하더군요.관리 대상 윈도우 10 에 화면을 띄워서 작업하는 프로그램을 돌리는데 문제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notepad"를 일반 데스크탑에서 실행하고 그 프로세스를 작업관리자인 task manager 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 그러면 위의 그림과 같이 "Apps" 아래에 프로세스가 보이며, 화면에 나타나는데요, 다음의 ansible 의 태스크로 실행을 해 보겠습니다. tasks: - name: first ping win_ping: - name: pkg install win_shell: notepad.exe args:

[DevOps] Windows 7에 ansible 이용하기

By 지훈현서 | 2018년 12월 18일 | 
지난번에 "[DevOps] Windows 10에 ansible 이용하기" 를 살펴보았습니다.그래도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윈도우를 꼽으라면 윈도우7이 빠질 수 없기에윈도우 7 버전의 32, 64 비트 가상 머신을 ansible로 연동해 보았습니다. 우선 지난번 윈도우10에서 처럼 설치를 하려고 하면,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오류 메시지를 보니, 파워쉘 버전이 3 이상부터 지원한다고 하는군요.(해당 솔루션을 찾느라고 이리 저리 반나절을 헤메고 다녔다는...) 그런데 해당 버전을 보니, 이런.. 2.0 이군요. 그럼 파워쉘을 업그레이드 해 볼까요? "Windows Management Framework 3.0" 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해당 사이트에서 "Download"를 눌러, 6.

Ansible에서 ESXi 6.5 VM 관리하기

By 지훈현서 | 2018년 12월 13일 | 
회사에서 어찌 저찌 하다보니 혼자 DevOps를 구축하게 되었네요.이제 그 끝이 보여갑니다. - Ryzen으로 ESXi 서버 구축하기- Photon Linux로 Docker Host 구축하기- 맥 시에라를 인텔CPU 기반 ESXi 서버에서 VM으로 돌려보기- Photon Linux에 Ansible을 포함한 젠킨스 컨테이너 만들기- ESXi 재기동 VM 및 Photon Linux의 재시작 서비스 설정 각 회사마다 처해진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범용 DevOps라 하기에는 아직 좀 멀지만,조금 다듬으면 ESXi 서버에 몽땅 필요한 것을 담아 넣고 DevOps 를 기동시킬 수 있겠습니다.(나중에 기회가 되면 정리를 별도로 할 생각입니다) 그 중에 정리를 위해서 하나의 그림으로 먼저 시작을 해 봅니다. 위의

[ansible] sshpass 설치

By 지훈현서 | 2018년 12월 8일 | 
앤시블로 작업을 하다보니, 모두 ssh-keygen 으로 만든 id_rsa.pub 와 같은키 대신 암호로 접속하고는 하는데, 이때 sshpass 라는 유틸이 필요합니다. 즉, ansible을 돌리는 머신에서 해당 유틸을 설치해야 하는데요, 다음과 같이 설치가능합니다. (윈도우 제외) 1) Photon Linux에서tdnf install -y sshpass 2) CentOS, Fedora 같은 Redhat 계열에서는yum install -y sshpass 3) Ubuntu와 같은 debian 계열에서는apt-get install -y sshpass 4) 마지막으로 Mac은 homebrew로 설치가능한데, 디폴트 저장소에는 존재하지 않아다음의 명령으로 가능합니다. rew install 어느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