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팅

Category
아이템: 
포스트 갯수4

우분투 계열 리눅스에서 복구 모드(recovery mode) 들어가기

By 반달가면 | 2018년 3월 29일 | 
간단한 내용이지만 잊어버릴 경우에 대비해 정리해 두기로. 우분투 계열 리눅스 배포판(리눅스 민트, 주분투 등)에서 뭔가 문제가 있어서 부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거나 하는 상황이 생겼을 경우, 복구 모드(recovery mode)로 부팅을 하는 방법이다. 처음에 부팅할 때 쉬프트(shift) 키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부팅 옵션이 나타날 것이다. 여기서 배포판에 따라 "recovery mode"라고 명시된 항목이 있을 수도 있고 "advanced options"라고 나온 항목을 선택해서 들어가야 recovery mode 항목이 나올 수도 있다. 복구 모드로 들어가면 디스크 검사를 하거나 루트(root) 셸로 들어가는 등 복구와 관련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리눅스에서 iso 이미지 파일로부터 부팅 가능한 USB메모리 만들기

By 반달가면 | 2017년 2월 13일 | 
리눅스 또는 윈도우 iso 이미지 파일로부터 부팅 가능한 USB메모리를 만드는 방법이다. 터미널창에서 명령어로 쉽게 가능하다(데비안/우분투 기준). 우선 USB메모리를 연결한 후, 장치명을 확인하자. 터미널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 # 장치 목록 표시 lsblk 출력된 결과로부터 USB메모리에 대응하는 장치명을 파악한다. 통상 /dev/sdc, /dev/sdd 이런식이 될 것이다. 여기서는 장치명이 /dev/sdc라고 가정해 보자. 만약 해당 USB메모리가 마운트 되어 있다면 해제해야 한다. 디스크 빈 공간을 확인하기 위한 df 명령으로 간단히 확인 가능하다. 만약 마운트되어 있다면 장치명과 마운트된 디렉토리가 표시될 것이다. # 디스크 빈 공간 확인 df # /dev/s

UEFI 부트 USB 설치 디스크 직접 만들기

By 파미의 여러가지 이야기 | 2016년 12월 7일 | 
UEFI 부트 USB 설치 디스크 직접 만들기
안녕하세요. 요즘은 윈도우 설치를 할 때, 광 매체가 아닌 USB 저장 장치를 사용하죠..! 마이크로소프트에서도 USB로 설치 미디어 만드는 도구를 제공해주기도 하고요..! 이 TIP은 ISO파일이나 DVD만 있을 때, 직접 USB 설치 디스크를 만드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윈도우 기본 프로그램만을 이용합니다. 1. 우선 설치 미디어로 만들 USB 메모리를 컴퓨터에 연결해주세요. 2. 관리자모드로 명령 프롬프트를 띄워줍니다.윈도우 비스타~7에서는 시작 메뉴 검색창에 cmd 입력 후 결과에서 관리자 모드로 실행하시면 되고,윈도우 8 이상부터는 좌측 하단 혹은 시작 버튼에 마우스 커서를 놓고 오른쪽 버튼을 눌러 나오는 파워 유저 메뉴에서 '명령 프롬프트(관리자)'를 클릭하시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