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디스크립터

Category
아이템: 파일디스크립터(3)
포스트 갯수3

[리눅스커널] 프로세스 별로 파일 디스크립터(파일 객체)는 어떻게 관리하나?

By Guillermo Austin Kim | 2020년 2월 18일 | 
아래 포스팅을 읽은 방문자님께서 댓글로 남겨 주신 질문에 대답하려고 합니다. [리눅스커널][가상파일시스템] 파일 객체: write 연산 세부 동작 분석 질문 서로 다른 프로세스에서 f1파일을 열었으니 fd가 가르키는 시스템 파일 테이블의 파일이 다를텐데어떻게 내용이 삭제되거나 섞이지도 않는지 알수 있을까요? 답신 사실 이 부분은 커널을 디버깅해봐야 알 수 있는 내용입니다. 커널 디버깅 툴 중 많이 사용되는 크래시 유틸리티로 이 내용을 확인해보겠습니다. 다음은 프로세스가 저장하고 있는 파일 디스크립터 목록을 출력해주는 'files 1' 명령어를 입력한 결과입니다. crash> files 1PID: 1 TASK: cf930f40 CPU: 0 COMMAND: "systemd"ROO

fd - file descriptor(파일 디스크립터) 갯수 확인 및 업데이트 방법

By Guillermo Austin Kim | 2017년 12월 23일 | 
리눅스 커널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스가 소유할 수 있는 파일 디스크립터의 갯수를 정해 놓았는데요.그럼 이 갯수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아래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어요.ulimit -a 결과를 보니 "nofiles(descriptors) 1024" fd의 갯수는 1024이네요.adb shell ulimit -atime(cpu-seconds) unlimitedfile(blocks) unlimitedcoredump(blocks) 0data(KiB) unlimitedstack(KiB) 8192lockedmem(KiB) 64nofiles(descriptors) 1024processes 6609flocks

[Linux][Kernel] fd(file descriptor: 파일 디스크립터) 등록 - 코드리뷰

By Guillermo Austin Kim | 2017년 12월 17일 | 
리눅스 시스템 프로그램을 보면 fd를 얻어오는 코드를 자주 볼 수 있어요. fd를 보통 file descriptor라고 하죠.특정 프로세스에서 파일 핸들이라고 이야기하고요. 그럼 fd가 커널 공간에서 어떻게 생성되고 저장되는지 살펴보도록 할께요.#include <stdio.h>#include <unistd.h>#include <sys/types.h>#include <sys/stat.h>#include <fcntl.h>#include <stdlib.h> #define MAX 1024 int main (int argc, char ** argv[]) { int fd; int readn = 0; int writen = 0; ch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