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MOD

Category
아이템: CHMOD(2)
포스트 갯수2

chmod - 리눅스에서 특정 디렉토리 하위의 모든 디렉토리/파일에 대한 권한 설정

By 반달가면 | 2019년 2월 7일 | 
우선 chmod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이전 게시물을 참고하자. 여기로 chmod의 몇가지 기본적인 예시는 아래와 같다. # my_data.txt 파일에 대하여 소유자(u) 권한에 읽기(r),쓰기(w),실행(x) 추가(+) chmod u+rwx my_data.txt # 그룹(g) 권한을 읽기(r)/쓰기(w)로 지정(=) chmod g=rw my_data.txt # 나머지(o) 권한에서 실행(x) 제거(-) chmod o-x my_data.txt 특정 디렉토리 하위에 있는 모든 항목에 대해서 권한을 설정하려면 -R(recursive)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 ~/data 디렉토리 하위의 모든 항목에 대하여 그룹(g) 권한을 읽기(r)/쓰기(w)로 지정 chmod -R

chmod - 리눅스에서 파일/디렉토리 접근권한 설정

By 반달가면 | 2017년 12월 13일 | 
기본적인 내용이지만 정리해 두기로. 리눅스에서 파일/디렉토리 접근 권한은 chmod 명령으로 설정한다. chmod의 옵션에 의해 소유자(owner, u), 그룹(group, g), 나머지(others, o)에 대하여 각각 읽기(read, r), 쓰기(write, w), 실행(execute, x) 권한을 지정할 수 있다. 권한 추가는 +, 제거는 -, 특정 권한으로 지정은 = 기호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소유자(u) 권한에 읽기(r)를 추가하기 위한 옵션은 u+r 이런식이다. 예시를 몇개 보면 쉽게 감을 잡을 수 있다. 예를 들어 my_data.txt 파일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접근권한을 지정할 수 있다. # 소유자(u) 권한에 읽기(r),쓰기(w),실행(x) 추가(+) chmod u+rwx 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