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annnnnnniii

인텔 CPU라면 방송 할 때 인코더를 하나 더 쓸 수 있다? 퀵 싱크(QSV) 인코더 사용법

By  | 2017년 11월 12일 | 
인텔 CPU라면 방송 할 때 인코더를 하나 더 쓸 수 있다? 퀵 싱크(QSV) 인코더 사용법
※ 해당 가이드는 메인보드 바이오스 설정, 드라이버 설치와 같은 기본적인 시스템 관리 요령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 어렵지 않지만 이 것에 익숙하지 않다면 추가적인 사전 준비와 조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사용하는 프로세서가 최소한 인텔 코어 i 시리즈 3 세대 아이비브릿지 제품군이어야 합니다. 인텔 코어 i 시리즈 제품군에는 내장 그래픽 프로세서(IGP)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대부분 게이머나 어느 정도 PC를 활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별도의 그래픽 장치가 있어서 해당 기능을 잘 사용하지 않지만 게임 녹화나 방송에서 기존에 사용하는 그래픽카드와 동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OBS Studio에서는 이 프로세서를 전용 하드웨어 인코더인 인텔 퀵 싱크(QSV)를 이용하여 구동하기 때

NvFBC를 서드파티 프로그램에서도 사용하여 봅시다

By  | 2020년 6월 13일 | 
OBS, 디스코드 등 NVIDIA 캡쳐 SDK를 사용하는 서드파티 프로그램에서도 NvFBC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흔히 NVIDIA의 하드웨어 기반 녹화 및 방송의 핵심은 인코더(NVENC)라고 알려져 있지만 NvFBC도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NvFBC는 Direct 3D API의 개입이 없이 프레임버퍼(프론트 버퍼)를 바로 캡쳐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게임이나 어플리케이션이 전달하는 프레임을 중간에 아무 것도 거치지 않고 그대로 복사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연유로 같은 NVENC기반이라고 하더라도 NvFBC를 사용이 가능한 프로그램들이 녹화 및 방송에서 시스템 자원을 가장 적게 소모할 수 있었습니다. NvFBC가 공식적으로 허용이 된 프로그램은 지포스 익스피리언스(GFE)와

엔비디아 지포스 익스피리언스의 강제 로그인 및 수집 차단 방법

By  | 2018년 9월 16일 | 
GFE의 기능이 절실히 필요하지만 강제 로그인과 데이터 수집이 성가신 분들에게 유용한 팁입니다. 1) 해당 링크를 방문하여 아래 링크의 파란색 링크를 우클릭-> 파일로 저장합니다. (다운받은 파일의 이름과 확장자를 반드시 확인합시다. 아닐 경우 app.js 로 변경합니다.) 2) 지포스 익스피리언스를 설치 한 뒤 실행이 되면 로그인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종료합니다. 3) 탐색기를 열어 아래의 경로로 이동합니다. 해당 폴더 안에 있는 app.js 파일을 백업해두고 1)에서 받은 app.js을 붙여넣습니다. C:\Program Files\NVIDIA Corporation\NVIDIA GeForce Experience\www\ 4) 다시 지포스 익스피리언스를 실행합니다. 로그인 절차

음성채팅과 게임소리를 분리하기 (리얼텍 내장 사운드 기준)

By  | 2020년 11월 10일 | 
이 가이드를 통해서 녹화나 방송을 할 때 1. 게임소리만 들어간 오디오와 2.게임소리+음성채팅이 들어간 오디오를 원하는대로 선택해서 들을 수 있습니다. 음성 채팅을 빼서 편집하고 싶을 때 아주 유용합니다. 별도의 믹서 장비가 필요하지 않고 리얼텍 내장 사운드와 헤드셋만 있으면 됩니다. 주의할 점은 스피커와 헤드셋을 통해 소리를 분리 재생하기 때문에 이 설정을 하고나면 소리 재생 시 헤드셋과 스피커가 동시에 출력이 됩니다. (음성채팅을 사용할 때는 스피커의 전원을 내려야겠지요!) 설정에 들어가기 전에 준비할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피커: 스피커를 보통 컴퓨터 후면에 있는 포트에 연결하기 마련이지만 이번 설정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케이스 전면에 있는 포트에 연결하시기 바랍니다. 2.

NVIDIA 드라이버 정보 수집을 제거하여 설치하기

By  | 2018년 5월 26일 | 
NVIDIA 드라이버 정보 수집을 제거하여 설치하기
어떤 분들은 요 며칠 사이 개인정보와 관련된 안내 메일이 쏟아지는 것을 보고 의아하게 생각하셨을 수도 있겠습니다. EU에서 개인정보 보호 규정(GDPR)이 드디어 발효되었기 때문입니다. 해외에서는 상당히 큰 화젯거리지만 국내는 현재 더 시급하고 중요한 사안이 있어 주목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 규정이 적용된지 이틀도 되지 않아 구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그리고 왓츠앱 같이 '논란의 여지'가 수단과 방식으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하는 기업들에게 소송이 줄지어 시작되었습니다. 만약 타당성이 재판에서 입증이 된다면 상당한 벌금을 물게 된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대략 9조 달러에 가까운 규모라고 하니..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인건 확실하지요. #BBC, #theverge 기업들은 이런 정보 수집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