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러렐즈

[Docker] 컨테이너 내에서 외부 호스트의 API 이용하기

By 지훈현서 | 2020년 6월 22일 | 
오랫만에 글을 올립니다.이번에는 같이 일을 하고 있는 동료가 요청한 내용인데필요에 따라 도커 이미지를 미리 다 만들어 놓은 상태에서컨테이너를 새롭게 더 띄우거나 하는 것을 외부에서가 아니라내부 컨테이너에서 해야 하는 필요가 생겼습니다. 해당 내용을 리서치하고 우분투 서버 20.04에서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다음은 그 내용입니다. 우선 결론적으로 다음과 같은 docker-compose.yaml 을 만들었습니다. version: "3.1"services: my-service: image: python:3.8-buster container_name: pydocker environment: - DOCKER_HOST=tcp://docker-socket-proxy:2375 com

[패러렐즈] Access 이용해 보기

By 지훈현서 | 2020년 2월 26일 | 
해마다 맥에서 윈도우나 리눅스 (심지어 macOS 까지) 등의 가상머신을 돌리기 위해서 패러렐즈를 구독합니다.요즘에는 각 작업마다 가상머신을 만들어 필요할 때마다 해당 작업을 하다가 멈추고는 다시 실행하면개발이나 실행했던 마지막 작업 환경이 그대로 있어 해당 환경을 다시 구축하는데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스냅샷 등을 이용하여 이전으로 되돌리고는 하는데, 개발 등에서와 같이 소스를 다룬다면해당 소스는 스냅샷과 관계없는 공유 폴더를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소스를 계속 변경해 가는데 이전 스냅샷으로 갔다고 이전 소스로 되돌아가면 곤란하겠지요. 암튼 현재는 거의 이 십여개 되는 가상머신을 패러렐즈에서 잘 동작시키고 있습니다.이번에는 패러렐즈에서 별도 제품으로 나온 억세스 (Access)

[MacOC] 패러렐즈에 MacOS 설치하기

By 지훈현서 | 2020년 2월 19일 | 
맥 OS를 사용하면서 부터 항상 같이 사용해 오던것이 바로 패러렐즈나 VMWare Fusion 과 같은 가상머신을 사용하게 하는 프로그램입니다.처음에는 기존 사용하던 윈도우와 호환을 위해서였고,점차 크로스 플랫폼 (윈도우, 맥, 리눅스 등) 개발을 위해서 였습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새 버전이 나올 때 마다, 꼬박 꼬박 돈을 주고구입해 왔습니다만, VMWare Fusion 은 중간에 한번 지원을 안한다고 해서포기했다가 최근에 다른 이유로 다시 구입했었네요. 암튼 VMWare Fusion 보다는 Parallels 를 좀 더 잘 사용합니다. 만약 맥에서 개발하고 한다면 그냥 맥 자체에 설치하고 해도 되지만맥 자체 VM이 필요할 때도 있습니다. 가지고 있는 맥북프로 2019가 2.3 GHz 8-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