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디의 시선

리눅스에서 대량의 파일을 빠르게 지우는 팁

By  | 2021년 1월 11일 | 
특정 디렉터리에 파일이 수만개 이상 쌓여있는데 이것을 지울 일이 생겼다면?그런데 이 경우 rm -rf /target_directory/ 같은 명령으로는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그렇다면 어떤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검색해 보면 여러가지 방법들이 나오는데 그 중에서 가장 빨랐던 방법을 소개합니다.rsync 명령을 사용하는 것으로빈 디렉터리를 생성한 후 삭제할 파일들이 있는 디렉터리를 동기화 시키는 방법입니다.rsync -a --delete /empty_directory/ /target_directory/

iptables DNAT 설정 스크립트

By  | 2021년 5월 14일 | 
#!/bin/sh # env setting BE_SERVER_IP="10.39.x.x " #private IP BE_PORT="3306" #ftp Port PF_DEVICE="eth0" #랜카드 # PortFowarding Kernel Setting, PortFowarding ON echo "1. Kernel Setting : /proc/sys/net/ipv4/ip_forward 0 -> 1" echo 1 > /proc/sys/net/ipv4/ip_forward sleep 0.5 # Iptables Rule Flush echo "2. IPTABLES Flush" iptables -F iptables -t nat -F sl

일반 사용자로 systemctl 사용 설정

By  | 2021년 1월 5일 | 
sample 유저에게 특정 서비스 구동 권한을 주기 위해서 root로 visudo 후아래와 같이 sample 유저에 대해서 권한을 설정해 두어야 한다. sample ALL=NOPASSWD: /usr/bin/systemctl stop 서비스명.servicesample ALL=NOPASSWD: /usr/bin/systemctl start 서비스명.servicesample ALL=NOPASSWD: /usr/bin/systemctl status 서비스명.servicesample ALL=NOPASSWD: /bin/shsample ALL=NOPASSWD: /data/서비스경로/bin/apachectl 이후 sample 유저로 아래와 같이 명령을 내려서 서비스 구동을 할 수 있다. sudo /usr/bin/syst

CentOS 7 및 Windows 2016 재부팅시 NAS(NFS) 자동 마운트

By  | 2021년 1월 7일 | 
▶ CentOS 7 에서 fstab 등록# yum install nfs-utils# mkdir /nas# vi /etc/fstab에 다음과 같이 추가예)10.101.83.38:/n2582854_testnas /nas nfs defaults,nofail 0 0 ※ NAS 문제 발생시에도 부팅에 이상이 없도록 nofail 옵션을 추가 ▶ Windows 2016 에서 NAS(NFS) 자동 연결- Server manager에서 Manage - Add Roles and Features 선택 - Features에서 Client for NFS 선택 후 Next로 설치 완료 -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 또는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다음 명령어로 NAS(NFS) 마운트예)

time wait 문제 발생 커널 파라미터 변경

By  | 2021년 3월 9일 | 
#port range 추가echo "1024 65535" > /proc/sys/net/ipv4/ip_local_port_range#tcp timeout 시간 줄이기echo 5 > /proc/sys/net/ipv4/tcp_fin_timeout ( FIN 대기시간 기본 60초에서 5초로 변경) vi /etc/sysctl.confnet.core.rmem_default = 4194303net.core.rmem_max = 16777215net.core.wmem_default = 4194303net.core.wmem_max = 16777215net.core.netdev_max_backlog = 100000net.core.optmem_max = 4194303net.ipv4.tcp_rmem = 1048576